아주스토리 총 141 건
-
갑상선 종양, 내시경 수술로 흉터 걱정 끝
한때 유명했던 배우인 1970대의 독신 여성 제니 모리스는 날씨에 관계없이 항상 목에 스카프를 두르고 다녔다. 지인들은 개성의 표현이라 생각했고 팬들은 모리스의 한결같은 모습에 환호했다. 하지만 담석으로 복통이 와 병원 응급실에 실려 갔을 때 목에 두른 스카프 아래로 숨겨진 갑상선 수술 흉터가 드러났다. 모리스 여사는 아주 어린 나이에 갑상선 종양 수술을 받아 목에 수술 흉터가 크게 남았던 것이다. 남들은 스카프를 여배우의 개성 표현으로 보았지만 사실은 항상 감...
home 건강 건강정보
-
나누는 삶을 환자에게서 배우다
나는 남보다 늦은 30대에 간호사의 길에 들어섰다. 늙은(?) 신참 간호사로 시작하여 지금까지 8년의 시간을 일하는 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 환자가 있다. 누구나 짐작하듯 신참 간호사의 생활은 실제적인 간호에 대해 아는 것이 별로 없어 매사에 좌충우돌하느라 몸과 마음이 힘든 날의 연속이었다. 신참 간호사 시절에 있었던 일이다. 그날은 초밤번 근무라서 오후 내내 눈코 뜰 새 없이 일하고 근무가 끝나는 시간에 맞춰 일을 마무리하고 있었다. 그때 응급실에서 연락이 왔다...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벌에 물려 돌연사(?)
까지 한달이 20~30명꼴로 벌독 알레르기로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고 있다고 합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농촌지역 전체 주민의 4.5% 정도가 곤충독 알레르기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합니다. 특히 매년 8월~9월 벌과 같은 곤충들이 왕성하게 번식하고, 독성도 가장 강한 때 가장 조심해야 한다고 합니다. 곤충독 알레르기란 곤충의 독에 다른 사람보다 더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물린후 얼마 안되어 두드러기, 호흡곤란, 혈압강하, 의식을 잃는 등 치명적인 증상 ...
home 의학 연구
-
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Full PACS)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s)는 다양한 의료 장비로부터 검사한 영상, 기타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획득(acquisition)한 후, 고속의 통신망(network)을 통해 전송하고, 디지털 정보형태로 영상정보를 저장하며, 영상 조회장치를 통하여 표시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포괄적인 디지털 영상관리 및 전송 시스템을 의미한다고 볼 수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항시적으로 안정적이고도 빠른 응답반응을 하...
home 건강 검사정보
-
뇌혈관질환 2
■ 치료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대부분의 환자가 응급실로 내원하게 되는데,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응급조치를 통해 환자의 생명을 살릴 수도 있고 돌일 킬 수 없는 상태로 악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진단에서 치료까지의 시간동안 안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지요.뇌동맥류의 궁극적인 치료목적은 재출혈 방지와 출혈에 따른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 입니다. 재출혈은 처음 출혈 후 2주내 25%, 6개월 내에 50%에서 발생하므로 재출혈 방지를 위한 궁극적인 치료방법은...
home 건강 건강정보
-
Bio-Medicus Pump
이동식 인공 심폐기로서 응급이동시에 유용하며 심폐기합병증이 비교적 적어 장시간의 복잡 심장 수술에 유용하다.
home 건강 검사정보
-
공황 장애(恐慌 障碍 Panic Disorder)
즉시 그 상황에서 빠져나가려고 필사적인 노력을 하며, 응급실로 달려가거나 우황청심원, 진정제, 심장약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려 애쓴다. 또 일단 발작이 지나가고 난 후에도 그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온갖 검사를 되풀이하여 받아보지만 신체적 이상은 발견되지 않고 발작은 반복된다. 결과적으로 환자들은 자신이 어떤 불치의 병, 진단도 할 수 없는 희귀한 병에 걸린 것은 아닐까 두려워하는 건강염려증에 빠진다. 또 발작을 초래할 지도 모르는 상황, ...
home 건강 건강정보
-
운동장애
마 후 갑자기 목이 훽 돌아가서 매우 아프고 괴로워서 응급실을 방문한 적이 있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이상 긴장증이며 역시 이것도 운동장애의 대표적인 병입니다. ■ 어떤 질병들이 운동장애인가? 1) 파킨슨씨병파킨슨병은 뇌의 일부 구조물에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점차적으로 결핍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1817년 의사였던 제임스 파킨슨이 이 질환에 대해 자세히 기록함으로써 체계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 원인 파킨슨씨병은 아직 그 정확한 원인을 ...
home 건강 건강정보
-
집안에서 담배를 피우는 문제에 대하여
어린이를 키우거나 임산부가 있는 집에선 반드시 집 밖에서 담배를 피우도록 하십시오. 실내에서의 간접흡연의 효과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천식, 중이염, 기관지염, 폐렴이 더 많이 생기게 할 수 있고 간접흡연에 노출되었던 어린이가 성인이 되었을 때 폐암에 걸릴 확율이 두배가 증가합니다. 또한 간접흡연으로 인해 영아돌연사의 위험이 매우 높아 집니다.간접흡연과 관련한 몇 가지 통계자료가 있습니다. 간접흡연에 노출된 어린이는 천식 발작을 일으켜 응급실을 내원하는 횟수가 ...
home 건강 건강정보
-
전산화단층촬영(CT)
CT(Computed Tomography)란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 쓰이는 방사선학적 의학기술로, 우리말로는 컴퓨터 단층 촬영이라고 합니다. CT의 원리는 X선을 여러 방향에서 아주 빠른 속도로 인체에 통과시켜 횡단면 영상을 얻어내는 것. 우리 인체의 장기나 조직은 각각 조밀도가 다르므로 X선을 통과시키면 각각의 장기나 조직의 밀도에 따라 통과하는 양도 달라 영상으로 받을 때 색깔이 각기 틀려 구분이 가능합니다. 원하는 부위를 칼로 썰어서 보듯이 깨끗한...
home 건강 검사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