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가기 주메뉴로 가기 카피라이트로 가기

수면센터

  • 수면센터
    수면센터

    다양한 연구결과와 풍부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당신의 건강한 수면을 찾아드립니다.

    홈페이지 바로가기

수면장애는 수면무호흡(코골이), 불면증, 주기적 사지운동증, 하지 불안증, 이갈이, REM수면 이상행동 등으로 매우 다양한 질환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중 가장 많은 수면무호흡은 남성의 약 11%, 여성의 5%에서 나타나며, 증상은 있으나 검사를 받지 않는 환자가 많아 더 많은 환자에서 수면무호흡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수면질환으로 인해 신체 내 산소가 부족해지거나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면,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부정맥, 심부전 등을 초래하거나 뇌졸중 등의 뇌혈관계 질환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최근에는 수면질환이 면역을 망가뜨려 염증 반응에 취약해지고, 또 몇몇 암들과의 연관성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수면센터는 다양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소아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성장 저하, 햇빛 노출과 수면시간의 관계, 수면다원검사 자동 판정의 문제점, 수면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수식의 개발, 수면검사기기, 양압기 등 수면기기의 정확성에 대한 검증, 수면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수술법 개발 등 다양한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수면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를 진행합니다. 이 검사는 뇌파, 근전도, 심전도, 산소포화도 등을 측정하는 기기와 호흡 기류 측정기, 자세 측정기, 마이크 등을 부착한 다음 수면 중 수면 단계와 각성, 무호흡 유무, 코골이, 팔다리 움직임, 호흡 노력, 혈중 산소 포화도 등을 측정합니다. 이때 수면 모습을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하여 정확한 수면 상태를 파악하고 수면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수면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은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비수술적 치료는 금주, 금연을 비롯해 수면에 영향을 주는 약물 중지, 수면 중 자세 치료, 양압기와 구강 내 장치 등이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방법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므로 환자의 상태와 질환을 고려해 적절한 수술을 해야 성공률이 높습니다. 아주대학교병원 수면센터는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