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Ajou toon] 중년 남성에게도 찾아오는 갱년기
50대 중반의 한 남성은 약 2년 동안 피로, 집중력 및 기억력 감소, 의욕 저하, 전신 쇠약, 성욕 저하 등의 원인으로 병원에 방문했다. 그는 의사와 상담 후 남성호르몬 검사를 통해 ‘남성갱년기’ 진단을 받고 호르몬 치료를 시작했다. 보통 ‘갱년기’하면 여성을 떠올리게 되는데, 중년 남성에게 찾아오는 남성갱년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남성갱년기는 남성 호르몬 감소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 변화와 함께 성기능 저하, 대사적 이상 등이 나타난다. 신체적 변화로는...
home 건강 건강정보
-
심장 뛰는 삶을 사는 의사, 순환기내과 양형모 교수
심장이 1분만 멈춰도 사람은 죽는다. 그래서 심장을 다루는 일은 분초를 다툴 수밖에 없다. 막혔던 혈관이 뚫리고 환자의 심장이 다시 뛰는 순간. 그 찰나의 희열은 양형모 교수를 순환기내과로 이끌었다. 관상동맥질환 전문의로 환자와 함께 걸어온 지 12년. 양형모 교수는 자신에게 생명을 맡긴 환자를 대하는 순간, 여전히 심장이 뛴다.
심장을 먹여 살리는 관상동맥
우리 몸 속 혈관의 길이는 약 10만km, 무려 지구를 두 바퀴 반이나 돌 수 있는 혈관을 통해 혈액을...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신체 조성이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말하며 당뇨병, 심혈관 질환과 같은 대사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위험인자 중 하나다. 일반적으로 비만을 정의하는 체질량지수는 키와 몸무게로 계산하지만, 근육이 많은 사람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처럼 비만을 정확하게 정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인의 경우에는 서양인에 비해 체질량지수가 낮지만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체지방의 양과 분포, 근육량을 포함하는 신체 조성(Body comp...
home 의학 연구
-
간질환 치료의 모든 것, 믿고 맡겨주십시오
하게 여기고 있음”을 밝혔다. 간경화 환자의 30~40%가 간암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조기발견을 위한 알파태아단백(AFP) 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는 필수로 채택하고 여기에 하나 더, 다른 병원에는 없는 독특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저희는 간질환의 진단 및 간암 조기발견을 위해 소화기내과 교수가 직접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환자를 가장 잘 아는 담당의가 빠르고 정확하게 보고 판단하겠다는 간센터의 의지로서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데 큰 역할 ...
home 의학 진료
-
세계당뇨병연맹 회장 취임 의료계의 반기문, 조남한 교수를 만나다
니다. 후진국의 경우 진단 자체를 못 받는 비율이 70%를 넘으니 실제 환자 수는 이보다 훨씬 많겠죠. 후진국에서는 자신이 당뇨병에 걸린지도 모른 채 합병증으로 죽음에 이르는 경우가 다수에요. 이 모든 것이 당뇨병에 대한 무지에서 발생하는 일입니다.”조남한 교수는 “당뇨병은 모든 질병의 어머니”라고 강조했다. 비전염성 질병으로 사망에 이르는 숫자가 1년에 1000만 명인데, 그 중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자가 500만 명이라는 것. 서구화된 생활 습관과 고령화 ...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소아 수면무호흡 키성장 방해 확인
수면 무호흡이 심한 소아가 또래 아이들보다 키가 작다는 사실이 국내 의료진의 연구결과로 확인됐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 중 기도가 막혀 저산소증과 수면 중 각성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고혈압, 심부전, 당뇨, 우울증, 피곤, 뇌졸중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수면 무호흡증은 소아의 약 5% 정도에서 흔하게 나타나며, 소아에서 주의력과 집중력 장애로 인한 성적 저하, 성격 변화, 얼굴 모양의 변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유발 등의 합병증을 불...
home 의학 연구
-
오십견 3개월 치료해도 통증 심하면 스테로이드 주사 적극 권장
중년에서 흔히 발생하는 오십견은 조기에 관절내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는 것이 병을 빨리 낫게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흔히 오십견이라 부르는 유착관절낭염은 대표적인 어깨 질환으로 관절주머니(관절낭) 주변에 발생한 염증으로 인해 어깨 관절이 굳고 통증이 심하다.아주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윤승현 교수 연구팀(정형외과 이두형, 응급의학과 안정환 교수)는 약물과 운동치료에도 통증이 호전되지 않는 유착관절낭염(오십견) 환자 339명을 대상으로 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관절내...
home 의학 연구
-
뇌졸중 환자 혈전제거술 전 빠른 혈전용해제 투여 중요성 확인
것도 기쁘지만 논문을 통해 동맥내 혈전 재개통률 94% 이상이라는 놀라운 성적을 낸 아주대학교병원 뇌졸중 중재치료팀의 우수성을 보여준 것 같아 매우 보람 있고 고무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아주대학교병원 연구중심병원 중점연구단의 하나인 뇌혈관질환연구단이 임상-기초 중개연구로 수행하여 세계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이와 같은 융합연구 방법론이 현재의 근거기반의학(evidence-based medicine) 한계를 뛰어 넘는 새로운 의료기술을 생성할 ...
home 의학 연구
-
건강으로 가는 길의 동반자, 8층 동병동 이소영 주임간호사
이소영 주임간호사에겐 마음 깊이 간직하고 있는 잠언과도 같은 글귀가 있다. 바로 ‘범사에 감사하라’다. 하루하루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병원생활이지만 그녀는 작은 일에도 감사함을 잊지 않는다. 그리고 그 마음으로 오늘도 환자의 회복을 위해 전념을 다한다.
아주대학교병원과 함께 성장한 베테랑 간호사
1994년 아주대학교병원의 개원과 함께 이소영 주임간호사도 간호사로 첫발을 내딛었다. 새 병원에서의 첫 근무. 모든 것이 새롭기만 한 신입간호사의 마음은 기분 좋은 설...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입 안의 이유 모를 통증, 어디서 치료하나요?
청구되는 금액이 지난 5년간(2010~2015년) 80% 가까이 늘었다는 사실은 구강내과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말해준다.
얼얼한 입안, 턱에서 ‘딱딱’ 소리 난다면
구강내과에서 다루는 질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 꼽히는 것이 바로 턱관절 장애이다. 다양한 연령층에서 나타나며 입을 열거나 닫을 때 턱에서 딱딱 소리가 난다거나 입이 안 벌어지는 경우, 입을 벌릴 때 통증이 있는 경우, 턱관절에 관절염이 생기는 경우 모두 턱관절 장애로 ...
home 건강 건강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