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코로나 블루 7문 7답
사회적 거리 두기 장기화로 우울감이 바이러스처럼 퍼지고 있다.불안한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항불안제를 처방받은 환자가올해 상반기에 작년 대비 25%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코로나19로 인한 우울감, 코로나 블루(Corona Blue)에 대해 소개한다.
01 요즘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코로나 블루는 왜 생기나요?‘코로나 블루’는 교과서에 나오는 정식 의학용어는 아니고 코로나19와 우울증을 뜻하는 ‘Blue’가 합성된 신조어입니다. 다른 말로는 ‘코로나 우울...
home 건강 건강정보
-
아나필락시스, 다기관 조사연구에서 23.5%가 중증 환자
신속한 응급조치를 하지 않으면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알레르기 쇼크, 일명 아나필락시스를 영유아에서부터 고령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에 걸쳐 원인, 위험인자, 증상, 응급대처 등 전반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다기관 전향적 조사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연구에서 대상자 558명 중 131명(23.5%)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중증 아나필락시스로, 그 수가 적지 않아 경각심을 일깨웠다. 중증 아나필락시스는 저산소증, 저혈압, 의식 소실 등과 같은 심한 신경계 증상 ...
home 의학 연구
-
웨어러블 분야에서 유실된 활동량 데이터 복원하는 인공지능 기반 대체법 개발
oisson regression 대체법에 비해 약 25% 향상된 복원 성능을 보였고, Bayesian regression 대체법과 비교하여 약 10% 향상된 복원 성능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이번 연구는 인공지능 스스로 활동량 데이터의 특징을 학습하여 유실된 활동량 데이터 복원을 학습하고 그 성능을 향상시켰다는 점과 최초로 활동량 대체법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연구란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진은 아주대학교병원의 생체신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환자 약 ...
home 의학 연구
-
골관절염 유발인자 RIP3 발견, 관절염 치료제 개발에 희망적인 연구결과 발표
.골관절염은 방사선검사에서 55세 이상의 경우 약 80%에서, 75세의 경우 대부분에서 나타날 정도로 흔하며, 인구 고령화 시대를 맞아 꾸준히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원인이나 해결책이 없어 문제다.이러한 가운데 최근 골관절염 치료제 개발에 희망을 주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주목된다.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김유선 교수팀(노현진 석박통합과정생)은 RIP3란 단백질이 활성화되면 세포 내에서 특정 단백질들의 발현이 ...
home 의학 연구
-
수은, 직업적 노출 아닌 일상에서의 저농도 만성노출로 고지혈증, 간 수치에 영향 줄 수 있어
수은 농도는 3.11μg/L이고, 4명 중 1명(25%)은 수은의 건강영향 기준치(HBM-I, 5μg/L) 즉, 이상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최고 농도를 초과했다.이러한 혈중 수은 농도는 미국 NHANES, 캐나다 CHMS, 독일 GerES 등 선진 국가가 주도한 바이오모니터링 연구결과와 비교해 약 3~5배 가량 높은 수준으로, 한국인은 일본과 함께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다.연구팀은 “한국인의 혈중 수은 농도는 지난 10여 년 동안 꾸준히 감소 추 ...
home 의학 연구
-
코로나19와 같은 RNA 바이러스 대응, 면역반응 조절하는 ‘MARCH5’ 기능 규명
COVID-19로 전세계가 사투를 벌리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와 같은 RNA 바이러스가 우리 몸에 침입 시 이를 이겨내는 면역체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조절 역할을 수행하는 ‘MARCH5’ 단백질의 기능을 규명한 연구가 발표됐다.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조혜성 교수팀은 ‘MARCH5’ 단백질이 인체 내 선천성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음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밝혔다.우리 몸은 외부에서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면역물질인 ‘인터페론’...
home 의학 연구
-
조기 위암 아닌 진행성 위암도 복강경 수술이 합병증은 적고, 재발률은 동일
, 초기 합병증(복강경 수술 vs 개복 수술, 15.7% vs 23.4%)과 후기 합병증(4.7% vs 9.5%) 모두에서 복강경 수술이 개복 수술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특히 후기 합병증에서 수술 후 장폐쇄 비율이 각각 2.0%, 4.4%로 복강경 수술이 크게 낮았다. 수술 후 장이 막히는 장폐쇄가 생기면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생명을 잃을 수 있다.KLASS 연구팀은 지난 KLASS-01 연구에서 조기 위암 수술 후 사망률과 초기 합 ...
home 의학 연구
-
아주대학교의료원의 이야기를 만화로 풀어낸 의사 만화가를 만나다
‘아의(亞醫) 선생’ 코너를 소식지에 약 11년 동안 연재하셨는데요. 오랫동안 연재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인가요?어릴 때부터 명랑만화를 참 좋아했어요. 만화를 보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조금씩 그렸고요. 40살에 정년보장을 받고 만화를 다시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40살 전엔 먹고사느라 바빴죠. 재밌는 이야기, 재밌는 만화를 즐기는 게 취미인데, ‘아의(亞醫) 선생’을 그리게 된 동기 중 하나도 취미를 살리고 싶었기 때문이에요. 취미처럼 즐기면서 하니 어느새 ...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신장내과 박인휘 교수, 마라톤과 같은 콩팥질환 함께 뜁니다
얼마 전 한 유치원에서 이른바 햄버거병이라 불리는 식중독 사고가 있었다. 이로 인해 대장균이 장 출혈을 일으키며 독소가 퍼져 혈액투석을 받았다는 뉴스가 나온 적이 있다. 덜 익은 음식에서 나온 대장균의 독소가 미세한 혈관에 병을 일으켜 콩팥 기능까지 손상된 것이다. 또 코로나19가 호흡기질환뿐 아니라 콩팥, 심장, 뇌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콩팥 기능과 혈액투석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콩팥은 회복 능력이 뛰어나지만, 콩팥 기능 손상이 심하고...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비뇨기암센터, 일상으로의 복귀를 빠르게 도와주는 환자 중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다. 2008년부터 로봇수술을 도입했는데 신장암의 90%를 로봇부분신절제술로 치료하고 있으며, 전립선암의 80%는 신경보존을 동반한 로봇전립선절제술로 요실금 없는 상태와 정상적인 성기능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비뇨기암의 주요 발생부위인 신장, 방광, 생식기의 기능을 최대한 보존함으로써 치료 후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빠른 일상복귀를 돕고자 로봇수술을 적극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방광절제 시 60%는 정 위치에 새로운 방광을 심어 자연배뇨가 가능하게 하는 등 로 ...
home 의학 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