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2020 간호대학 특집
2020년은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거점 대학으로 자리매김하는 해아주대학교 간호대학은 2019년 보건복지부로부터 탁월한 교육 환경과 교수 역량을 인정받아 간호대학 실습 교육 지원사업의 표준형 수행 기관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경기권역 내 시뮬레이션 교육 거점 대학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ANSWER(Ajou Nursing Simulation for Worthy Education and Resource) 센터를 개소했으며, 사업 첫해인 올해 주요 사...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2020 의과대학 특집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은 2년 연속 의사국가고시에서 100% 합격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높은 비율의 모교 졸업생이 대학에 교원으로 남아 교육, 연구, 진료분야에서 기여한다는 점 또한 다른 여러 의과대학과 비교되는 우리 대학의 두드러진 특징이자 강점입니다. 이는 소수 정원의 대학이라는 특성에서 비롯된 바도 있지만, 모교 출신을 우대하는 학교의 정책에서도 기인하고 있습니다. 학생들과 함께 발전해나가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은 많은 분의 ...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2020 의과대학 특집
Q. 고등학교 때 경험한 인터넷 강의와 대학에서 경험한 비대면 강의는 어떤 점이 달랐나요?A.고등학생용 동영상 강의는 기술적으로는 한발 앞서지만 맞춤형 교육을 받기 어려웠던 반면, 대학에서 받은 비대면 강의는 소수 인원으로 진행되고 학생의 이해도에 맞는 맞춤형 교육이어서 훨씬 더 구체적이고 집중도가 높았습니다. Q.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후 대면 수업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다고 느꼈나요?A.자신이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택해 반복적으로 강의를 들음으로써 시간을...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2020 의과대학 특집
건강한 사람도 외로움에 지치면 마음의 병을 얻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하물며 나이 들어 혼자 사는 어르신들은 오죽할까.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이 지난 2012년부터 마음맺음 사업을 시작한 이유가 바로 이런 어르신들을 위해서였다. 수원에서 홀로 사는 김수철(73세) 어르신도 마음맺음 사업 덕분에 삶의 활력을 찾게 된 사례다.“9년 전에 아내가 죽고 쭉 혼자 살았어요. 죽은 아내가 병마에 오래 시달려서 자식도 없어요. 너무 힘들어서 두 번이나 극단적인 선택을 했습니다. ...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2020 의과대학 특집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은 이미 지난해 대구과학대학교 간호대학 및 NEST(간호전문교육) 센터와 중증외상간호교육센터에서 협업 수업을 진행하며 IPE(Inter-professional Education) 활성화에 적극 나섰다.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5학년 학생과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학생 그리고 두 대학 교수 등 모두 100명이 참가한 가운데 의료 전문직 간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에 참여한 것. 학생들은 팀을 이뤄 정상 분만 후 출혈이 있는 산모, 열성경련 소아, ...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2020 의과대학 특집
Q. 의과대학에 진학하려면 3년 내내 전교 1등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A. 내신 성적이 좋으면 의과대학 진학에 유리하지만 대입 전형은 학생부 종합, 교과, 논술, 정시처럼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저도 전교 1등은 못 해봤지만 정시 전형과 논술 전형을 열심히 준비해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전교 1등이 아니더라도 자신 있는 전형을 열심히 준비한다면 충분히 성공할 수 있으니 끝까지 최선을 다하시길 바랍니다.
Q. 의과대학 지망 고등학생들...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다른 혈관에서 동맥류 있으면 ‘뇌동맥류’ 있을 가능성 약 20배 더 높아
환 동맥류 환자군은 1017명이었고, 이들 중 25.7%(261명)에서 뇌동맥류를 동시에 동반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반면 다른 전신혈관 동맥류가 없는 환자군 1,112,639명에서는 0.6%(6,780명) 만이 뇌동맥류가 확인돼 큰 대조를 보였다.또 성별, 나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관련 인자들을 보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른 전신 혈관 동맥류가 있는 환자의 경우 뇌동맥류의 유병율이 정상 인구에 비해 약 20배 정도 더 높았다.좀 더 ...
home 의학 연구
-
우리 몸의 주춧돌, 발의 건강을 책임집니다.
공 발목 치환물의 생존율은 대체적으로 양호해 2년 96%, 5년 93~96%, 10년 78~94%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연수 기간 중에 발목 인공관절 치환술 시골 절삭 방법의 차이, 즉 금속 기준자를 하지의 전방에 위치시켜 영상 증폭기로 관찰하고 하지의 정렬에 맞추어 시행하느냐, 아니면 기준자를 경골의 골수강 내에 삽입해 이를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결과와 합병증이 달라지는지에 대한 비교 연구를 시행했다. 기능적 결과와 생존율은 큰 차이가 없이 두 방법 모두 ...
home 의학 연구
-
소화기내과 임선교 교수, 조기 위암 완치율 100%의 꿈을 위해 환자의 곁을 지킵니다
에 국한된 조기 위암의 경우 림프관 및 혈관 침범이 5% 이내로 드물고, 5년 생존율이 98%를 상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내시경 치료 기술과 기구가 발달해서 조기 위암의 경우 내시경적 절제술을 통해 완전 절제 및 완치가 대부분 가능합니다.”임선교 교수는 오랫동안 내시경을 기반으로 하는 최신 치료법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왔다. 그러던 그는 2018년 프랑스로 1년 동안 연수를 다녀오면서 의료 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혁신적 치료법 ...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후 이중항혈소판요법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 필요성 제기
출혈성 사건의 위험도는 티카그렐러 복용환자 군에서 30% 이상 유의미하게 높다고 밝혔다(위험비 1.35, 신뢰구간 1.13-1.61).항혈소판 제제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가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시술 후 1년간 복용해야 하는 약제로, 현재 주요국의 가이드라인에서는 2009년 발표된 무작위 임상시험인 PLATO1) 연구를 토대로 기존 P2Y12 억제제인 ‘클로피도그렐’ 보다 더 강력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티카그렐러’를 우선 처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연구결 ...
home 의학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