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위암 검진 미리미리 받으세요
령별로 보면, 40-50대 검진자의 비율(1월 54.7%, 12월 75.1%)은 연말로 갈수록 증가한 반면, 60세 이상 검진자의 비율(1월 45.3%, 12월 24.9%)은 감소했다.이렇듯 연말로 갈수록 검진 건수가 증가한 반면, 진단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검진 건수가 가장 많은 12월 진단률은 가장 낮았다(2013-2014년 : 0.22 per 100 screenings, 2015-2016년 : 0.21 per 100 screenings). 이는 ...
home 의학 연구
-
전문성·효율성·안전성 삼박자를 고루 갖춘 환자 중심 센터
절제술에 성공했다.“현재 간센터에서는 간암 환자의 80% 정도가 복강경 간 절제술을 받고 있습니다. 생체 간이식 공여자도 복강경 간 절제술로 이식간을 절제합니다. 덕분에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상처 부위가 작으며, 일상으로의 복귀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간암 환자의 수술 후 5년 생존율도 제1기 87.9%, 제2기 72.0%, 제3기 51.2%, 제4기 19.9%로 높은 수치를 기록한다. 이러한 성과에는 첨단 기술도 한몫했다. 먼저, 간센터는 2 ...
home 의학 진료
-
진정성 있는 태도와 최선의 치료로 환자에게 희망을 전하다
통해 뇌의 비정상적인 신호를 차단하여 약물 용량을 80% 가량 줄이고, 증상이 호전되는 등 삶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습니다.”하지만 수술적 치료가 모든 환자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다. 일례로 파킨슨증후군은 수술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의사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 치료와 수술 치료를 적절히 선택하고 결정해야 한다. 윤정한 교수는 뇌심부자극술을 받은 후 새로운 일을 찾고 일상생활로 복귀한 50대 환자의 사례를 덧붙였다.“손을 심하게 떨어서 직장에서 해고된 남 ...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전문의가 답하는 당뇨망막병증 7문 7답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으로 구분합니다. 전체 환자의 80%를 차지하는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에서는 황반부의 허혈 및 황반부종으로 심각한 시력저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와 당뇨 조절로 시력을 유지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또한 실명 위험이 있으며, 황반부 허혈, 신생혈관에 의한 유리체 출혈, 견인 망막박리 등이 주된 실명의 원인입니다.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을 앓는 환자라도 중심 망막(황반)에 장애가 없으면 시력이 정상일 수 있습니다. 그러 ...
home 건강 건강정보
-
내 생애 가장 소중한 연구를 위한 시간들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최소침습수술에 대한 연구초기 자궁경부암 환자를 위한 안전한 최소침습수술에 대한 고민과 연구는 산부인과 유희석·장석준 교수님을 비롯한 여러 교수님들이 협업해 부인암 환자에 대한 개별화된 치료와 향후 치료를 논의하는 튜머보드(tumor board)와 다학제 진료에서 시작됐다. 지난 2015년, 아주대학교병원 부인암센터 연구팀은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복강경 및 로봇 근치자궁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재발 양상과 생존율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
home 의학 연구
-
위암
home 건강 건강만화
-
뚫지 못하는 뇌혈관 막힘, 새로운 혈관재생으로 치료한다
정말 피하고 싶은 급성 뇌졸중 중 막힌 혈관을 뚫기 힘든 경우 주변에 정상 혈관과 연결해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발표됐다.신경과 홍지만 교수팀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6년동안 급성기 혈관폐쇄성 뇌졸중을 보인 모야모야병 환자 37명에서 이 치료법을 시행한 결과, 모두 혈류상태가 좋아져 증상이 호전됐다고 밝혔다. ‘모야모야병’은 원인을 알 수 없이 뇌혈관이 점차 좁아지는 희귀 난치성질환으로 완치가 힘들다.이 새로운 치료법은 국소마취 후 두개골(머릿뼈)과 뇌...
home 의학 연구
-
중증 알코올성 간염, 장내 미생물로 진단 및 예측하는 길 열려
중증 알코올성 간염을 장내 존재하는 미생물의 변화를 통해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중증 알코올성 간염은 과다한 알코올 섭취로 인한 알코올성 간질환 중 가장 심한 상태로 치료하지 않으면 한 달 후 사망률이 50%가 넘는다. 현재 진단은 과도한 알코올 섭취력과 혈액검사를 통한 황달과 응고인자 검사로 한다.소화기내과 정재연 교수팀(김순선 교수·은정우 연구조교수)은 2016년 12월부터 2019년 1월까지 국내 6개 대학병원(아주대병원·고대안암병원·...
home 의학 연구
-
만성골반통
home 건강 건강만화
-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home 건강 건강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