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폐암
최근의 보건 통계에 따르면 암으로 사망한 전체 남자의 34%, 여자 암사망 환자의 21%가 폐암으로 사망하였다고 하며, 최근 여성 흡연 인구의 증가로 인해, 여자의 폐암 사망률은 급격히 상승하고있는 반면 남자의 폐암 사망률은 다소 둔화를 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1992 년 미국 암 협회 통계에 따르면 매년 168,000명의 폐암 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이중 남자와 여자의 비율은 1.5:1 이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서기 2,000년에...
home 건강 건강정보
-
천식
천식은 완치가 어려우나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조절할수는 있습니다.천식 환자라고 일상생활을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천식의 관리법만 잘 익혀둔다면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활기차게 생활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일이나 운동을 할수도 있고 학교에도 다니며 밤에는 고통없이 숙면을 취할 수 있습니다
home 건강 건강정보
-
유육종증(Sarcoidosis, 사르코이도시스)
간 더 많이 발생한다. 흔히 침범되는 장기는 폐로 90% 정도에서 관찰되며 그 외에 피부, 눈과 림프절을 잘 침범한다. 이 질환은 간혹 몇 주간에 걸친 급성 또는 아급성으로 진행되지만 대부분은 수 개월간에 잠행성으로 진행하여 만성적 경과를 밟으며 여러 해에 걸쳐서 증상의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게 된다. 증상이 전혀 없이 정기 신체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침범 장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흔히 전신증상 없이 호흡기 증상(기침, 호흡 ...
home 건강 건강정보
-
비브리오 패혈증
오한, 고열, 피로감 및 근육통이 생기면서 저혈압(33%)을 동반하기도 한다. 또한 증상 발현 후 36시간 내에 피부 병소(75%, 홍반.부종.수포.조직 괴사)가 나타나며,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로 치료해도 사망률이 50% 이상이고, 저혈압이 있는 경우는 사망률이 거의 100%이며 대개 48시간 내에 사망하게 됩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외과적 처치(절개, 배농, 절단 등)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결국, 수인성 전염병은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먹어 생기는 병이므로, 예방 ...
home 건강 건강정보
-
이질과 식중독
수증이 동반되어 치료 받지 않으면 쇼크가 초래되어 60%의 치명율을 나타내며, 원래 우리 나라에는 없던 병으로 유행 때마다 동남아 또는 남미지역으로부터 수입되는 전염병입니다. 전파의 주역할을 하는 것은 물이며, 환자 대변으로 배출된 콜레라균은 저항력이 약하여 끓는 물에서는 순간적으로 살균되고, 10~20℃의 물에서는 4~7일간, 하수나 해수에서는 좀더 오래 증식할 수 있지만, 염소 처리로 쉽게 살균되기 때문에 상수도 시설이 없는 지역이나 오염된 물에서 생산된 어 ...
home 건강 건강정보
-
장티푸스
장티푸스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급성전염병으로, 비교적 연중 발생되고 있으므로 어느 계절이든 고열이 지속되는 불명열 환자에서 반드시 감별 진단해야 될 질환입니다. 1970년대 이후 점차 감소 추세에 있으나, 아직도 매년 2천~4천명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발병자의 3%가 만성보균자가 되므로 우리 나라의 경우도 매년 60~120명의 보균자가 생긴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장티푸스는 사람만이 유일한 자연 숙주이고, 또한 감염원이 사람으로써, 급성 감염증 환자,...
home 건강 건강정보
-
쯔쯔가무시병
쯔쯔가무시병은 진드기유충에 의해 전파되는 급성발열성질환으로 물린 부위에 가피와 주위 임파선종대가 동반되는 특징을 가지며 일본, 한국, 대만지역에 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환자의 발생이 보고되었는데 신증후출혈열이나 렙토스피라병보다도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연령은 40대 이후가 많으며, 여자에서 약간 발생빈도가 높으며, 월별로는 10~11월에 대부분이 발생합니다. 환자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으로 풀밭 또는 농촌에서 밭일을 한 경...
home 건강 건강정보
-
폐렴의 특징 및 치료
렴 세균성 폐렴의 가장 흔한 폐렴으로 모든 폐렴의 50%를 차지합니다. 구강내 상재균으로 존재하며 상기도 감염후 잘 발생합니다. 특히 심장질환, 비장적출, 알콜중독, 만성 폐질환, 신장이식 후 자주 발생합니다. 증상은 심한 오한, 발열, 기침 및 흉통이 나타나고 객담은 혈담인 경우가 많습니다. 합병증으로 흉막염, 뇌막염, 심내막염, 복막염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치료는 항생제로 페니실린제나 세팔로스포린제제를 사용하고 대부분 후유증 없이 잘 치유됩니다. 3. ...
home 건강 건강정보
-
만성기침
천식과 비슷한 증상을 보입니다. 발생빈도는 후비루(42%), 천식(24%), 위식도 역류성 질환(21%) 순입니다. 특히 고혈압 치료제인 ACE 길항제를 복용하는 환자 10~35%에서 합병증으로 기침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혈압 하강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ACE 길항제가 기침의 원인인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단, ACE길항제 복용을 금한후에도 기침이 2~4주 이상 계속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만성기침 치료에 있어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원인 규 ...
home 건강 건강정보
-
수면무호흡증
수면중 발생하는 수면 무호흡증은 수면시 코를 고는 사람들이 흔하게 호소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은 잠자는 도중 호흡이 멈추고 숨이 차서 깨고, 낮에는 졸음 때문에 일상생활 및 직장일, 공부 등에 어려움을 겪는 증상입니다. 수면중 호흡검사, 동맥혈 산소검사, 뇌파, 심전도 등을 시행하여 무호흡증의 진단 및 원인을 찾고 이비인후과 등과 협의 하에 코골이 수술 등 원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home 건강 건강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