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노인성 요실금
■ 노인성 요실금이란?방광의 저장능력의 감소 및 요도기능의 약화로 원하지 않은 시간과 장소에서 본의 아니게 소변이 배출되는 것을 말합니다.■ 노인성 요실금의 원인노년과 연관되어 흔히 발견되는 원인만을 살펴본다면, 방광의 기능을 조절하는 뇌 기능에 이상이 오는 경우, 연령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방광 및 요도의 변화, 방광과 요도에 변화를 초래하여 요실금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남자에서는 방광출구를 막게되어 여러 배뇨증상을 유발하는 전립선비대증, 여성에서는 요로 감염 및...
home 건강 건강정보
-
자궁내막암
나라 여성암의 발생빈도는 발생 순서대로 자궁경부암 27%, 위암 18%, 유방암 10%, 간암, 대장암, 폐암, 난소암 2.8%, 자궁내막암 1.6%의 순서로 자궁내막암은 매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아직 미미한 정도이다. 한편, 미국 질병통계청에 의하면 자궁내막암은 미국 여성암 중 4번째로 발생하며 부인과 암 중에서는 가장 많아 1년에 약 3만3천여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자궁내막암의 호발연령은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으로 알려져 있으며 40 ...
home 건강 건강정보
-
Ristocetin cofactor assay
■ 검사코드 - L2411■ 검사명 - Ristocetin cofactor assay ■ 검체 Citrate blood, Tube의 파란선까지(2.7ml) 채혈, 4℃에서 원심분리 후 혈장은 -70℃에서 보관* 부적합 검체 : 응고된 검체, 용혈된 검체, 지방성인 검체, 항응고제 비율이 정확하지 않은 검체 ■ 의의 지혈기전 중에서 혈소판이 콜라젠에 붙는데는 von Willebrand Factor(vWF)가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데 혈소판의 접착응집에 없어서는 안...
home 건강 검사정보
-
Factor VIII assay
■ 검사코드 - L2404 ■ 검사명 - Factor VIII assay ■ 검체 Citrate blood, Tube의 파란선까지(2.7ml) 채혈, 4℃에서 원심분리 후 혈장은 -70℃에서 보관* 부적합 검체 : 응고된 검체, 용혈된 검체, 지방성인 검체, 항응고제 비율이 정확하지 않은 검체 ■ 의의 혈액응고 기전에는 크게 내인계와 외인계로 나누는데 VIII인자는 내인계에 관여하는 필수 응고인자로서 활성형 IX인자, 인지질 및 Ca이온과 함께 복합체를 형성하여...
home 건강 검사정보
-
Factor IX assay
■ 검사코드 - L2405 ■ 검사명 - Factor IX assay ■검체 Citrate blood, Tube의 파란선까지(2.7ml) 채혈, 4℃에서 원심분리 후 혈장은 -70℃에서 보관* 부적합 검체 : 응고된 검체, 용혈된 검체, 지방성인 검체, 항응고제 비율이 정확하지 않은 검체 ■ 의의 혈액응고 내인계 인자중 IX인자가 결핍된 것을 혈우병 B형 또는 Christmas 병이라고 한다. 이 질환은 유전형식, 임상증상 모두 혈우병 A와 동일하여 응고인자 검...
home 건강 검사정보
-
Factor VIII inhibitor assay
■ 검사코드 - L2414 ■ 검사명 - Factor VIII inhibitor assay ■ 검체 Citrate blood, Tube의 파란선까지(2.7ml) 채혈, 4℃에서 원심분리 후 혈장은 -70℃에서 보관* 부적합 검체 : 응고된 검체, 용혈된 검체, 지방성인 검체, 항응고제 비율이 정확하지 않은 검체 ■ 의의 VIII 인자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순환성 항응고물질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중증 혈우병 A 환자로 반복된 수혈이나 보충요법을 시행하는...
home 건강 검사정보
-
Factor IX inhibitor assay
■ 검사코드 - L2415 ■ 검사명 - Factor IX inhibitor assay ■ 검체 Citrate blood, Tube의 파란선까지(2.7ml) 채혈, 4℃에서 원심분리 후 혈장은 -70℃에서 보관* 부적합 검체 : 응고된 검체, 용혈된 검체, 지방성인 검체, 항응고제 비율이 정확하지 않은 검체 ■ 의의 IX 인자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순환성 항응고물질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중증 혈우병 B 환자로 반복된 수혈이나 보충요법을 시행하는 환자에...
home 건강 검사정보
-
FISH-CML
방치된 검체. ■ 의의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약 95%에서 22번 염색체의 장완과 9번 염색체의 장완의 상호전위 : t(9:22)(q34:q11) 이 일어난다. 이것을 필라델피아 염색체라고 한다. 9번 염색체의 proto-oncogene인 c-abl이 22번 염색체의 bcr에 결합하여 bcr/abl 재배열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생성된 새로운 210 KD phoshoprotein이 백혈병으로 이행한다고 생각된다. FISH기법으로 bcr/abl의 재배열된 필라델피아 ...
home 건강 검사정보
-
FISH-PML
ptor alpha (RARA)가 재배열을 형성한다. 이것은 급성전골수성백혈병(APL-M3)의 70%이상에서 발견된다. 이 검사는 FISH 기법으로 PML-RARA가 재배열된 염색체를 찾아 급성전골수성백혈병을 진단하고 또한 치료경과를 관찰할 수 있다. ■ 약어 FISH :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APL : Acute promyelocytic leukemiaEDTA : Ethylenediaminetertraacetic acid
home 건강 검사정보
-
VNTR(PCR)
■ 검사코드 - L9131■ 검사명 - VNTR(PCR) ■ 검체 EDTA blood 5 ml 혹은 BM 2 ml, 실온에 보관하고 가능한 빨리 (24시간 이내) 검사실로 보낸다.* 부적합 검체 : PB (3.0 ml), BM (1.0 ml) 이하의 검체, 채혈 후 2일이상 경과한 검체, 항응고제로 heparin을 사용한 검체, 응고되었거나 오염된 검체, 여러번 동결 해동된 검체. ■ 의의 동종골수이식환자의 유전자와 골수공여자의 유전자를 PCR기법을 이용하여 비...
home 건강 검사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