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책과 감염병 70. 온 더 무브
임상의료윤리 수업은 감염학 수업보다 문제 출제가 자유롭다. 이런 시험문제를 낸다. 모두 같이 풀어 보자. 문제 1. 다음은 대한의사협회 의사윤리강령 제9조이다. 빈칸에 들어갈 단어는? 09. 의사는 사람의 생명과 존엄성을 보호하고 존중하며, 죽음을 앞둔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환자가 인간답게 ○○○○죽음을 맞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 이 문제의 정답은 다음 호에서 알려드리겠다. 마음이 급하신 분은 인터넷으로 찾아보면 된다. 자연스런 결말이 좋다. 문제 2. ...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건강하고 즐거운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노년기를 두렵게 하는 요인은 많다. 젊을 때는 손쉽게 할 수 있던 일도 힘겹게 느껴지고, 사회·경제적으로도 위축되기 마련이다. 노년기에 밀려드는 두려움과 불안 속에서 삶의 균형을 찾고 건강한 노년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일, 정신건강의학과 손상준 교수의 역할이 바로 그것이다. 노년기 환자의 마음을 이해하고 보듬다 손상준 교수가 정신건강의학을 전공한 데는 일차적으로 인간을 탐구하고 이해하고 싶은 학문적 욕심이 크게 작용했다. 신체적 요소뿐 아니라 심리·사회...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응급의료 시스템의 기준, 경기서남 권역응급의료센터
소아환자는 약 2만 명. 이 중 중증환자 비율은 70%에 달한다. 올해는 3만 명 이상의 소아환자가 센터에 내원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아주대학교병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내 소아응급구역을 따로 두고 9개의 소아 전용 병상을 운영하고 있다.센터가 자랑하는 최고의 인프라는 ‘사람’, 즉 의료진이다. 센터는 경기서남권에서 유일하게 소아 응급 전담전문의 8명이 상주하며 24시간 365일 소아청소년 응급환자를 직접 진료한다. 어떠한 상황에도 흔들림 없이 환자를 진료하는 ...
home 의학 진료
-
<아주대의료원 소식> 찐팬 인터뷰
‘찐’이란 진(眞)을 세게 발음한 것으로 진실, 진국, 최상의 상태 등을 의미한다. 곁에도 오랜 시간 소식지를 사랑하며, 이를 제대로 활용할 줄 아는 ‘찐팬’이 있다. 소식지 300호를 기념해 10권 이상의 소식지를 수집했거나, 본인의 사진이 나온 소식지를 소장하고 있는 찐팬 3인을 만나봤다.“보고 읽고 느끼는 즐거움을 나누고 싶습니다”자원봉사자 최혜정 님호스피스 병동 안에서 나지막이 책 읽는 소리가 들려온다. 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후부터 독서지도사이...
home 사람 환자 이야기
-
미주신경성 실신
갑자기 가슴이 답답하고 속이 메스꺼워 지면서 온몸에 힘이 빠져 의식을 잃는다면? 순환기내과 이광노 교수와 함께 미주신경성실신을 알아보자.
home 건강 건강만화
-
[딱5분만] 발기부전 발생원인 3가지
home 건강 건강TV
-
오래 앉아 일하는 직업군, 심혈관질환 위험 50% 줄이는 법
일 또는 학업 등으로 오래 앉아 있더라도 주 2~3일 이상 중등도 이상의 신체활동을 꾸준히 하면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50%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예방의학교실 이순영 교수팀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료패널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6,828명을 대상으로 주중 하루 평균 좌식시간과 주당 중등도·고강도 신체활동 일수를 추적 관찰한 결과와 심뇌혈관질환 누적 발생률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연구팀은 지난 10년간 주중 하루 평균 좌식시간이 비교적 적게...
home 의학 연구
-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손씻기 지역격차 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손 씻기 실천과 거주지역의 박탈수준 간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기존에 손 씻기가 개인의 교육·소득수준 등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었으나 이번 연구는 개인의 특성뿐 아니라 거주지역의 특성을 다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손 씻기는 감염병을 예방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면서 비용이 적게 드는 방역수칙으로 대규모 감염병인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하며 그 중요성이 더욱 대두됐다.예방의학교실 주영준 ...
home 의학 연구
-
[딱5분만] 사망률 1위 폐암 놓쳐서는 안 될 위험 증상 3가지!
home 건강 건강TV
-
[아주인사이드] 폐과 위기 속에서 소아청소년과를 선택한 이유?
home 건강 건강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