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갑상선 질환
■ 갑상선은 병명이 아니다.환자들은 흔히 자신의 병을 갑상선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갑상선은 병명이 아니다. 갑상선이란 정상적으로 목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호르몬 분비샘이다. 갑상선은 나비 모양으로 한쪽의 크기는 2×5 cm 정도이다. 갑상선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어 낸다. 감상선 호르몬은 몸의 대사를 조절한다. 만일 감상선 호르몬이 너무 많다면 체온이 올라가고 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 반대로 갑상선 호르몬이 갑자기 없어지게...
home 건강 건강정보
-
[비만증] 인체 계측법(Anthropometry)
■ 인체계측법이란?지방조직은 수분이 적어서,지방이 많을수록 전기전도도가 낮아 지고 저항이 커지는 원리를 응용하여 체지방량을 측정하여 비만증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사람의 체지방보유량은 매우 다양하여 체중의 10% 미만부터, 40% 이상인 경우까지 매우 넓은 범위에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비만증이란?비만증은 연령, 성별, 신장, 체격에 따라 결정되는 일정한 기준(이상적 체중의 120%)을 초과하는 체지방량의 과잉상태를 말한다. 비만증은 한가지 원인에 의한 단순...
home 건강 검사정보
-
[갑상선질환] 갑상선 초음파 검사
■ 초음파 진단법이란?인간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는 20-20,000 Hz이다. 20,000 Hz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진 음파를 초음파(ultrasound)이라 부르며, 이는 귀로 들을 수 없다. 원리는 인체의 체표에서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음향저항의 차이 즉 밀도나 경도의 차이가 있는 조직에서 초음파를 반사하는 것을 이용하여 반사된 메아리를 탐지하고 영상화함으로서 시각화하여 그 안의 내용물의 성상을 알아내는 것이다. 초음파 진단법이란 이러한 초음파를...
home 건강 검사정보
-
[골다공증] 골밀도 측정법
척추골, 대퇴골, 상지, 하지 및 전신의 골밀도를 1% 이내의 오차로 정밀하게 측정하고 있으며, 전산화 단층촬영기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을 통해 척추골의 골밀도를 하나하나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치료 후 골밀도를 추적 검사함으로서 골다공증이 좋아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골다공증이란?골다공증이란 말 그대로 뼈에 정상 이상으로 구멍이 많이 생기는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뼈를 구성하고 있는 조직학적, 생화학적 구성비는 정상이나 골량이 감소되어 가벼운 외상 ...
home 건강 검사정보
-
[당뇨병] 전류인지역치 검사(CPT)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 중 신경병증이 직접 사망원인이 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실생활에서 당뇨병 환자를 괴롭히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 검사는 정량적 감각기능검사로서 전류인지역치로 말초신경의 손상정도를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여러 주파수를 갖는 미세한 전류로 신경섬유그룹의 손상정도를 수치화, 정량화하여 객관화시키는 이 검사를 시행함으로서 감각신경 손상을 초기에 진단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피부에 바늘을 꽂거나 자극으로 통증을 유발하는 다른 검사법들에 비교...
home 건강 검사정보
-
[당뇨병] 경동맥 내중막 두께 측정(Carotid IMT)
대사증후군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것은 최종 합병증으로 죽상경화증에 의한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및 말초혈관질환 등의 다양한 혈관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즉, 고인슐린혈증, 고혈압, 이상지혈증 등은 그 자체가 하나의 질환일 뿐 아니라, 관상동맥 및 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로 작용하며, 대상증후군에서는 이들 위험인자가 죽상경화증을 유발하고 진행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죽상경화증은 임상적인 증상 및 증후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진단이 쉽지 않기 때문에...
home 건강 검사정보
-
[당뇨병] 인슐린 내성검사(Insulin tolerance test)
인슐린 저항성은 성인당뇨병(제 2형 당뇨병)의 주요 병인이 될 뿐 아니라 비만, 고혈압, 이상지혈증 및 동맥경화증과 같은 대사질환의 발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어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혹은 대사성 증후군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검사의 원리는 인슐린 투여 후 혈당의 감소 정도를 평가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수치화 하는 것입니다. 본원에서는 이 검사를 통해 기존 당뇨병 환자의 경우엔 치료 방침에 도움을 주고 내당능 환자의 경우엔 당뇨로 진행하는 것...
home 건강 검사정보
-
[당뇨병] 경구 당부하 검사
경구 당부하 검사는 당뇨병의 정확한 진단 및 치료 방침을 설정하기 위해서 시행하는 검사로 당뇨병이 의심되는 경우 초기에 실시합니다. 방법은 공복 8시간 이상 후에 설탕 75그램을 물에 타서 먹기전, 먹은후 30,60,90,120분에 각각 혈당과 인슐린의 양을 측정합니다. 산모일 경우는 100그램을 섞어서 1시간 간결으로 3시간 동안 측정합니다.
home 건강 검사정보
-
[당뇨병] 자율신경 기능검사(Autonomic function teat)
■ 자율신경 기능 검사란?심혈관계 반사를 이용하여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이 검사는 자율신경계에 대한 다른 검사보다 손쉽게 할 수 있고, 그 결과가 다른 신경병증과 좋은 상관성을 보이므로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자율신경병증의 진단과 경과관찰을 돕고 임상증상이 없는 신경병증을 찾을 때에도 쓰입니다.■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이란?당뇨병성 만성합병증 중의 하나인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은 직접적인 사망원인이 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부교...
home 건강 검사정보
-
[당뇨병] 도플러 검사(Doppler)
■ 도플러 검사란?상지 및 하지 혈관의 혈류속도와 파형을 측정하여 당뇨병성 혈관합병증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당뇨병 환자는 족부궤양 발생시 감염과 괴사를 일으켜 결국 발을 절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도플러 검사로 이런 환자들의 하지의 혈류를 측정하여 죽상경화증에 의한 말초혈관의 혈행 장애를 진단할 수 있고 상지와 하지의 혈압 비율을 측정하며 파형 분석에 의한 질환의 진행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혈관합병증이란? 당뇨병성 혈관장애는 미세혈관 합병증과 대...
home 건강 검사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