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천사들의 수호천사, 신생아집중치료실장 박문성 교수
우리 나라 연 출생인구가 1994년엔 70만 명에서 2004년엔 50만 명으로 저하되어 저출산 문제가 국가위기론에까지 심각하게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주대 의대 소아과학교실 조사에 따르면 이런 분위기에 반하여 경기남부권의 출생인구는 10여 년 동안 연 3만 명으로 변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아주대학교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받은 미숙아는 연 500~550명 선으로 늘고 있는 추세이다. 경기도 내 미숙아들의 치료를 전담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치료내시경의 최고 실력자, 김진홍 교수
국내 처음, 특허 내는 치료내시경 실력자올 초 방송과 일간지에 보도된 「코를 통해 검사하는 위내시경」에 대한 설명이다. 환자에게 보다 편하고 만족한 치료를 받게 하려는 아주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진홍 교수의 쉼 없는 연구결과다. 치료내시경을 이용한 위장관질환 치료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실력자로 손꼽히는 김진홍 교수. 환자의 편의를 우선하는 그의 고민과 노력은 1995년을 거슬러 올라가 세계 최초로 말기 위암환자에서 위유문부 코일형 인공도관 삽입술을 성공시켰고, ...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천식 치료의 세계적 권위자 박해심 교수
천식치료의 세계적 권위자 박해심 교수에 대한 환자들의 신뢰 두터워지칠 줄 모르는 연구심이 인재양성과 우수논문으로 결실 맺어국제적 수준의 임상시험센터 설립을 목표로 매진 아주대학교병원 알레르기·류마티스내과 박해심 교수에게는 「천식 치료의 세계적 권위자」 라는 수식어가 늘 붙어 다닌다. 말 그대로 박해심 교수는 천식 연구를 위해 20여년 이상의 시간과 노력을 쏟아 부었고, 그의 두드러진 연구 성과는 전 세계 천식 전문가들로부터 주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박해심...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휴머니스트, 이비인후과 김철호 교수
다 예후가 별로 안 좋고 종류에 따라서는 생존율이 30% 정도밖에 안되는 경우도 많아 힘도 들지만, 회생 가능성이 희박했던 환자의 예후가 좋을 때 기뻐하는 환자를 보면서 보람을 느끼고 이 일을 지속할 힘을 얻습니다.』 라고 말하는 그가 앞으로 하고 싶은 분야도 두경부암의 분자생물학적 접근이다.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의 편의를 위해 격주 수요일 오전에는 두경부 종양클리닉을 여는데, 환자 입장에서 보면 한 진료실에서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방사선종양학과 전문 ...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만나고 싶었습니다를 시작하며
시간에 쫓겨 의사와 환자는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내 주치의 선생님은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일까? 조금 더 가까이서 그를 접하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지만 좀처럼 그런 만남을 갖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환자들은 ‘혹시 나에게만 소홀한 것은 아닌지’ 오해를 할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정된 시간에 많은 환자를 봐야 하는 우리나라 의료 여건상 충분한 대화의 시간을 갖기가 어렵다는 것뿐이지 의사가 병을 소홀히 하는 것은 아닙니...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당뇨병
당뇨병이 임신성 당뇨병이며 전체 임신한 여성의 2-4%입니다. 정상적으로 임신을 하게되면 태반 호르몬이 분비되어 인슐린의 작용을 억제하게 되므로 일부의 산모는 이로 인해 당뇨병이 유발됩니다. 통상적으로 임신 24-48주 사이에 포도당 부하 검사를 하여 임신성 당뇨병 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이나 원래 당뇨병을 갖고 있던 여성이 임신하는 경우 모두 거대아, 미숙아, 양수 과다증, 선천성 기형 등의 빈도가 증가하고 산모도 빈번한 감염과 혈당 조절의 ...
home 건강 건강정보
-
비만증
■ 비만증의 올바른 치료방법최근 비과학적인 비만증 치료제를 맹신하고 무분별하게 남용하여 체중감량에는 성공하지만 근육손실, 골다공증 등으로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분비내과에서 운영하는 비만 클리닉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건강을 유지하면서 비만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식사조절 및 평가, 운동요법, 행동교정 및 약물요법을 조화롭게 사용합니다.■ 비만증이란 ?과거에는 뚱뚱한 사람이 건강해 보인다고 생각해왔고 비만을 자랑으로 여기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home 건강 건강정보
-
태반의 분화 결정 기전 연구
일생에 거의 단 한번의 기회가 될지도 모르는 장기 해외 연수를 앞두고 나는 임상과 기초 어느 방향을 택할 것인가 즉, 아는 길로 갈 것인가 가 보지 않은 길로 갈 것인가를 고민하다가 새로운 길을 택하기로 결정했다. 전공인 모체태아의학 분야에서 많은 기초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곳을 알아본 끝에 2003년 5월말, 미국 Missouri주의 St. Louis행 비행기를 탔다. 도착한 St. Louis는 미국 중서부 평원에 위치한 조용하고 자그마한 중소도시였다. 나를 ...
home 의학 연구
-
유방을 아름답게 보존하라
나의 전공과목은 진단방사선과이다. 하지만 방사선뿐 아니라 초음파와 자기공명 등 다양한 과학적인 방법들을 동원하여 진단을 하므로 방사선과라고 하기에는 과의 범위가 넓어졌고, 또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진단뿐 아니라 환자의 치료에도 응용을 하므로 진단방사선과로는 과를 대변하기 힘들어 영상의학과로 전문과목명칭의 법 개정을 앞두고 있다. 나는 그 중에서도 유방과 관련된 진료와 연구를 하고 있다. 유방의 영상의학은 매우 어려워 영상의학과의 세부전공 중 유일하게 신체의 ...
home 의학 연구
-
의학과 삶에 스승이 되어 준 도시, 뉴욕 맨하튼
나는 올해 초 3개월 동안 미국 코넬 의과대학에 다녀왔다. 코넬대학은 뉴욕주 「이타카」라는 약간 도시와 떨어진 곳에 있지만 의과대학과 병원은 뉴욕 맨하튼 한중간에 위치해있다. 그곳에 처음 도착해서 받은 느낌은 건물이 참 멋없고 캠퍼스도 무미건조하고 이것이 그 유명한 아이비리그 중 하나인 코넬 의과대학인가 싶었다. 그러나 곧 맨하튼 땅값이 이 세상에서 가장 비싸다는 것, 그래서 학교나 병원을 땅을 많이 들여 캠퍼스를 만들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이곳에...
home 의학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