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부종
취후 4시간 후까지 누워있는 경우에는 섭취한 물의 65% 이상, 서있는 경우에는 55% 이상을 배설해야하나, 그 이하의 양을 배설하는 경우에 양성이다.치료로는 이뇨제가 원인이 된 경우에는 저염식이를 하면서 3-4주간 이뇨제를 끊는 것이 첫 번째 치료이다. 환자에게 처음에는 체중이 증가할 수 있지만 저절로 회복될 것이라고 격려를 해주는 것이 좋다. 만일 이뇨제가 꼭 필요한 경우에는 최소한의 용량을 사용하며, 부종이 낮 시간에 형성되므로 투여시간은 초저녁이 좋다. ...
home 건강 건강정보
-
급성 신우신염
■ 급성 신우신염이란?급성 신우신염이라 함은 주로 세균에 의해 갑자기 신장과 신우에 염증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이 질환은 소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성인에서는 대부분 여성에 흔한 질환으로서 여성인구의 10%내지 20% 정도가 일생동안 한번쯤은 앓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증상으로는 대부분 38.5℃이상의 고열, 오한, 측복부(옆구리) 통증 등이 나타나고 그 외에도 권태감,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설사, 근육통, 두통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약 5...
home 건강 건강정보
-
사구체 신염(絲球體 腎炎)
■ 사구체 신염이란?사구체 신염이란 병은 글자 그대로 사구체내에 염증이 있는 질환이다. 사구체는 신장내의 여러가지 구조물들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사람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신장 한개당 약 백만개씩 갖고 있다. 사구체의 모양은 사구체의 한자가 말해주듯이 실(絲)이 공(球)처럼 뭉쳐져 있는 구조물(體)이다. 우리 몸안에서는 실이 아니고 작은 혈관들이 공처럼 모여서 공같은 구조물을 이루고 있다.이러한 작은 혈관들내로 피가 지나가게 되는데 피가 지나가면서 피 속에...
home 건강 건강정보
-
혈뇨
있어도 양성 반응을 보이므로 위양성이 흔히 있다(100% 민감도, 62% 특이도).■ 혈뇨의 진단방법은?혈뇨는 증상이 없다 하더라도 건강 검진 등에서 흔히 발견되는 소견이다.혈뇨를 가져오는 출혈은 신장을 포함한 신요로계 어느 부위에서나 일어날 수 있으므로 혈뇨라는 것이 확인이 되면 어느 부위의 출혈인지에 대해 검사를 하여야 한다. 그러나 소변시의 불쾌감, 빈뇨, 소변의 백혈구가 동반되는 방광염 및 요도염과 같은 급성 염증은 균배으로, 심한 통증으로 쉽게 의심할 ...
home 건강 건강정보
-
단백뇨
■ 단백뇨의 정의 및 측정방법은?정상 단백뇨의 양은 하루 150밀리그램 이하로 60%는 여과된 혈장 단백질이며(이중 20-40mg는 알부민), 40%는 요상피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이다. 단백뇨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1. 소변 딥스틱 방법(여러가지 반응물질이 포함된 플라스틱막대를 소변에 찍어서 색깔의 변화를 보는 방법) 알부민에 대해서 반응을 나타내며, 하루 300-500mg 이상이 되어야 양성 반응이 되며 소변 농도에 의해 양성의 정도가 변화한다....
home 건강 건강정보
-
만성신부전
취하여야 하고, 부종이 없는 체중이 이상 체중의 1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섭취열량을 더욱 제한하여야 한다. 투석적 또는 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시부전 환자의 지방 섭취는 총 섭취열량 중 지방의 비율을 30% 이내로 제한하고, 포화지방산 섭취를 총 열량의 20%로 제한하며,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300mg 이내로 제한하여야 하고, 이러한 식이요법에도 불구하고, 혈중 지질대사 이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병행하여야 한다.만성신부전 환자에서는 혈압조절, 부 ...
home 건강 건강정보
-
신결석
■ 신결석이란?일반적으로 신결석이란 신배결석, 신우결석 및 요관결석을 포함한 상부요로결석의 총칭이다. 칼슘 신결석이 80%이상 이며, 충격파쇄석술 및 외과적 시술에 의해 제거되지만, 내과적 처치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데 그 이유로서는 첫째, 결석의 발생 및 재발은 외과적 치료의 발전과는 무관하게 그 빈도가 발생되는바, 결석의 예방을 위해서는 결석 발생기전에 기초한 내과적 처치가 중요하다는 것과 둘째, 상당수의 결석은 외과적 치료없이 배출되고 있다는 점과 셋째, ...
home 건강 건강정보
-
임신과 신질환
이 환자에서도 임신예가 보고되고 있으나 신장기능이 50% 이하로 떨어지면 수임능력이 떨어진다. 신질환이 있는 임산부에서 고혈압, 신기능 저하 및 신증후군이 있는 경우에 태아 성장지연, 미숙아 및 태아 사망률 증가 등이 발생된다. 신질환이 있는 환자가 임신을 하였을 경우 단백뇨가 증가할 수 있으며, 단백뇨 자체는 미숙아 및 태아 성장지연 합병증은 높이나 태아 사망률은 증가시키지 않는다.4. 임신이 기존 신질환에 미치는 영향신기능이 정상이거나 다소 저하된 경우 임신 ...
home 건강 건강정보
-
요통(flank pain)
■ 요통이란?요통이라 함은 허리의 중, 하부의 통증을 의미하는 비특이적인 용어이다. 옆구리는 위로 늑골, 아래는 골반, 내측으로 척추, 외측으로는 신체의 옆으로 경계지어지는 부위이다. 일반적으로 옆구리는 통증의 흔한 발생 부위가 아니므로, 비록 극심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지속적인 불편감을 일으키는 요통은 유의하여 관찰하여야 한다. 요통의 원인으로 신장의 병변을 의심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며 또한 상당수에 연관이 있기도 하다.■ 신성원인의 요통1. 신장의 종...
home 건강 건강정보
-
요로감염
흔하다.임신부에서는 요로감염이 비교적 흔하고(2 - 8%), 특히 상부 요로감염이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무증상 세균뇨가 있는 임신부의 20 - 30% 정도가 신우신염으로 발전된다. 요관 긴장도의 감소, 요관 연동운동의 감소, 일과성 방광-요관 밸브의 기능 이상 등이 임신중에 상부 요로감염이 흔한 이유로 거론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분만 도중 또는 분만 직후 흔히 시행되는 요관 삽관 등도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요로감염 특히, 상부 요로감염이 있었던 ...
home 건강 건강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