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갑자기 자주 소변을 보는 아이
어느날 갑자기 아이가 하루에 수십 차례 소량의 소변을 보는 일이 생깁니다. 그러나 잠자는 동안에는 이런 일이 없습니다. 요도가 아프거나 따끔거리지도 않습니다. 소변 검사를 해봐도 감염의 증거를 찾을 수 없고 당뇨도 없습니다. 이런일이 매일 혹은 몇주 지속 될 수도 있습니다. 다시 의사를 찾아가 검사해도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무슨 일이 일어난것일까요? 대개 유치원을 다니기 시작하거나 가족이나 친척의 질병이나 죽음과 같은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home 건강 건강정보
-
아이가 열이 날 때
일으키지 않습니다. 처음 열경기를 일으켰던 아이중 60%는 다시 재발하지 않습니다.자, 이제 열에 대한 지나친 걱정을 덜었을 줄 압니다. 열이 나면 어떻게 해야 좋은지 알아보겠습니다.1) 얇은 옷을 입히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시킵니다.2) 어느 정도의 열은 감염과 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지켜보시기 바랍니다.3) 열로 아이가 많이 괴로워하면 해열제(아세타미노펜)를 먹이도록 합니다.4) 아세타미노펜을 먹여도 열이 떨어지지 않고 아이가 더 힘들어하면 이부프로펜 ...
home 건강 건강정보
-
아이가 땀을 많이 흘릴 때
땀은 우리몸의 체온조절및 노페물 배출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신생아는 더워도 생후 얼마동안 땀을 흘리지 않으며, 대부분 생후 2-18일에 땀을 흘리게 되며 미숙아는 2-4주가 지나야 비로소 땀이 나기 시작합니다.그런데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서 체표면적당 땀의 양이 많고, 땀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등의 체질적인 차이가 있어서 똑같은 조건이라 할지라도 일률적으로 똑같은 양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아이에 따라서 많게 나올 수도 있고 적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특히 젖을...
home 건강 건강정보
-
칼슘에 대하여
우유를 잘 소화시키지 못하는 아이들이 간혹 있습니다. 만약 많은 양의 야채와 함께 균형잡힌 식사를 한다면 아이의 성장과 치아 발육에 필수적인 칼슘을 충분히 섭취하는데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요즘 같이 인스턴트 음식이나 단 맛에 길들여진 아이들에게 이 같은 음식을 많이 먹이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우유, 육류, 치즈와 같은 유제품을 지나치게 많이 먹이면 단백질은 충분히 섭취할 수 있겠지만 전체 칼로리 소모량 중에서 단백질이 차지하는 비율이 17%를 넘으...
home 건강 건강정보
-
부종은 콩팥이 나쁘기 때문인가?
진찰실에 30대 주부가 찾아와 「요즘 반지와 신발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손발과 눈두덩이 그리고 얼굴이 부어 콩팥(신장)에 이상이 있는가」를 물어 왔다. 환자분은 아는 사람이 이런 증세가 있다가 어느 병원에 갔더니 콩팥이 나빠서 그렇게 된 것이라는 것을 듣고서 필시, 자기도 콩팥이 나쁠 것이라면서 신장 검사를 원했다.이 정도는 아주 당연하고 충분히 의심해 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되며 꼭 의심해야할 것으로도 생각된다. 그러나 반대로 이런 상황도 흔히 발생한다....
home 건강 건강정보
-
진한 소변색깔은 건강의 적신호?
소변의 색깔은 소변의 농도, 산도 및 화학물질 등 여러 인자에 의해 결정되며, 정상적인 소변도 농도에 따라 거의 무색에서 부터 짙은 노란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을 나타낸다.정상적으로 소변은 유로크롬이라는 색소에 의해 색깔을 띄게 된다. 수분섭취가 적거나 탈수로 소변이 농축되면 짙은 노란색을 띄게 되며, 수분섭취가 많거나 음주중에는 소변양이 증가하면서 소변이 묽어져 거의 색깔을 띄지 않게 된다.정상적인 소변이라도 인산염의 침착에 의해 탁하게 보일 수 있다. 또 ...
home 건강 건강정보
-
신장 및 요로계질환이 있는 경우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주요증상
우선 주요증상들로는 배뇨 이상 증상으로 배뇨시 통증, 빈뇨, 급뇨, 야뇨, 배뇨지연, 잔뇨감, 요줄기 이상 등이, 요량의 변화인 다뇨, 핍뇨, 혹은 무뇨증, 요중 성분의 변화인 육안적 혈뇨, 혼탁뇨, 혹은 심한 거품이 나는 소변, 옆구리 혹은 치골 상부의 통증, 안검부종, 안면부종, 하지의 함요부종과 같은 부종, 고혈압, 요독 증상 등이 있다.■ 빈뇨빈뇨는 배뇨 이상중 가장 흔한 증상으로, 정상보다 자주 방광을 비우는 경우를 말한다. 방광염, 결석, 종양 등에 ...
home 건강 건강정보
-
신장이식수술을 받으려면
■ 현재 기증공여자가 있는 경우가족 내에 신장기증 공여자가 있는 경우 공여자가 가족임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와 함께 이식대상자 선정 승인 신청서를 작성하여 국립장기 이식관리센터로부터 승인서를 받은 후 이식과 관련된 의학적인 점검 후에 신장이식 수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가족이 아닌 타인으로부터 기증공여를 받으려고 하는 경우에는 공여자와 수혜자 사이의 순수성을 증명 할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하여 이식 대상자 선정 승인 신청서를 작성하여 국립자기 이식관리센터로부터 승인...
home 건강 건강정보
-
장기기증
■ 장기기증이란장기기증이란 신체의 일부분을 다른 사람을 위하여 아무런 조건 없는 나누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타인과는 물론이고 가족간의 관계에도 마찬가지입니다. 2000년 2월 9일부터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대가를 위한 장기기증은 엄격히 규제되고 있습니다.장기를 기증하는 경우에는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하나는 장기 기증자가 이식 대상자를 지정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이식 대상자의 지정 없이 다른 누구에게 주는 것입니다.■ 이식대상자를 지정하는...
home 건강 건강정보
-
신공여자의 선정
■ 신공여자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은?1. 수술 합병증미국 신장이식 센터의 합동조사 보고에 의하면 수술에 따른 사망률은 0.03%, 주요 유병율은 0.23%로 매우 낮게 보고된바 있다. 그러나 여러 센터에서 보고된 신공여자의 합병증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보고에 의하면 수술에 따른 합병증은 약 31.8%였으며 심한 수술 합병증은 약 4.4% 였다고 보고하였다.2. 신공여자의 신기능의 변화 및 신장 합병증신절제 후 발생하는 신장 합병증으로는 보상성 신비대, 단백...
home 건강 건강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