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혈관조영 및 중재적 방사선시술(Interventional Procedure)
■ 혈관 조영술이란 무엇인가? 방사선(X-선)을 이용한 혈관 검사이며 방사선과 전문의사가 체외에서 카테터(catheter)라는 가는 관(2mm 내외)을 혈관으로 삽입하여 조영제란 약제를 주사하여 X-선상에서 혈관의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병명이나 병소의 위치, 병의 진행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는 검사이다. ■ 어떤 경우에 혈관 조영술을 하나? 혈관 조영술 검사를 하는 가장 흔한 이유는 혈관의 폐쇄다. 하지의 혈관이 막히면 걸을 때 통증을 유발하고 신장의 혈관이 막히...
home 건강 검사정보
-
전산화 다중 단층촬영(Multi-Detector CT)
개인용 컴퓨터가 386, 486, 펜티엄 등으로 발전했듯이 CT도 70년대 초에 처음으로 개발된 EMI CT를 필두로 하여 제1세대에서 4세대까지 눈부시게 발전되어 왔다. 나선식 CT는 컴퓨터로 말하면 펜티엄 III에 해당되는 최신 CT 장비라고 할 수 있다.CT에는 x-선을 발생시켜 내보내는 x-선 튜브가 있는데, 이 튜브는 한 절편의 CT 영상을 만들기 위해 환자 주위를 360도 회전해야 한다. 이 튜브에는 당연히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어 있고 ...
home 건강 검사정보
-
자기공명 영상촬영(8 channel MRI)
자기공명영상은 1980년대초 임상에 적용되기 시작한 이후로 가장 빠르게 발전한 영상기법이다.자기공명영상의 원리는 일정 주파수의 강한 전자기파를 인체에 투사하면, 인체내의 양성자가 이 전자기파에 공명하여, 이 전자파에너지를 흡수하고, 전자기파가 끊어지면 흡수한 에너지를 미세한 전자파 형태로 방출하게 되는데, 이를 탐지하여 영상화하는 것이다.자기공명영상은 강한 전자기파를 발생하나 인체에 해가 될 정도는 아니며, 임신초기의 태아에도 무해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
home 건강 검사정보
-
적외선체열 전신촬영(DITI System)
전 히포크라테스는 환자의 몸에 진흙을 얇게 바른 후 체온에 진흙이 각기 다른 속도로 말라 굳어 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특히 염증이 생긴 부위는 정상 부위보다 빨리 굳는 것을 확인하고 인체 열 방사가 병의 부위 진단에 아주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물체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에너지를 받게 되면 고유의 에너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항상 받아들인 에너지를 다시 방사하게 되는 흑체의 성질을 가지며, 이는...
home 건강 검사정보
-
복부방사선 분야
복부에 관련된 위장관검사, 초음파 및 혈관촬영을 담당한다. 간담도계 질환에 대해서는 초음파와 CT가 주된 진단법이며, 일부의 경우 MRI를 시행한다. 최근 최신기종의 다중 검출기 CT(multidetector CT)가 도입되어 병의 발견과 진단의 정확도가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여러가지 간내 특이 조영제를 사용한 MRI검사를 시행하여 간암을 진단하고 있다.여러 종류의 중재적 시술이 간담도계에서 이루어지는데, 경피적담도 배액술(PTBD)같은 경우 초음파유도하에 담...
home 건강 건강정보
-
흉부방사선 분야
흉부 및 심장질환을 진단하고 치료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다양한 방사선 영상 진단이 이용됩니다. 정면과 측면 단순촬영이 기본적인 방사선검사로서 폐,기도,종격동과 심장 질환의 유무,종유와 정도를 파악하는데 사용됩니다.다음으로는 의심되는 질환의 확인과 감별진단을 위해서 또는 단순촬영에서잘 보이지 않는 질환을 찾는 목적으로 흉부 CT(Multi-detector CT)를 이용하면 폐암의 선별검사,기도와 폐혈관 질환에 대한 삼차원 영상,심장 및 관상동맥 CT,흉...
home 건강 건강정보
-
근골격방사선 분야
근골격계는 사지에 관한 모든 영상과, 척추및 골반질환을 담당한다. 일반촬영은 다양한 임상과의 필요에 맞추어 진료에 밀착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삼차원 CT의 도입으로 복잡한 골절 및 손상도 정확히 진단한다. 동맥천자없이 시행하는 간접 동맥 조영술도 가능해졌으며, 비침습적 검사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업그레이드된 MRI로 이전보다 더욱 양질의 관절영상을 얻게 되었으며 시간도 단축되었다. 연골영상을 위한 고해상도 영상, 골수의 병변을 보기위한 지방상쇄영상, 관절 ...
home 건강 건강정보
-
신경방사선 분야
신경방사선학은 자기공명영상장치와 감산혈관촬영기 그리고 다중컴퓨터단층촬영기 같은 첨단 시설의 도입 및 발전과 함께 최근 비약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분야로, 특히 최근에는 진단뿐만 아니라 뇌혈관질환에 대한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신경중재적방사선 분야의 급속한 발전이 두드러지고 있다.시설면에서 우리 병원은 새로이 다중컴퓨터단층촬영기를 새로 도입하였고 자기공명영상장치를 최신기종으로 업그레이드하였으며, 곧 3차원 혈관촬영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러한 최신 장치를 바탕...
home 건강 건강정보
-
유방방사선 분야 2
경 이후에도 섬유선종이 생길 수 있다. 섬유선종의 20%에서 여러 개가 함께 다발성으로 오며, 호르몬과 관계가 있어 월경 주기 말이나 임신 중에 커지는 경우가 많다. 섬유선종은 경계가 분명하며 잘 움직이는 무통성 종괴라서 표면이 둥글고 매끈하며, 때로 종괴가 큰 경우에는 분엽상이나 원반모양으로 보이기도 하고 고무같이 단단하거나 석회침착으로 인해 돌같이 단단하게 만져지기도 한다. 그러나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유방X선 촬영이나 유방 초음파를 통해서 알 수 있고, ...
home 건강 건강정보
-
유방방사선 분야 1
매할 때가 많은데, 실제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90%는 증세가 가볍고 일시적이며, 유방통증이 절대로 유방암에 의해 생긴 증세가 아니라는 의사의 확인을 받고 나서는 얼마 후 저절로 증세가 없어진다. 나머지 10% 정도의 환자는 통증이 1주일 이상 계속되거나, 생활에 불편을 느낄 정도인데 이때는 약물 치료의 대상이 된다. 유방통증을 호소하는 대부분의 여성들은 “혹시 암에 걸리진 않았을까?” 하는 염려로 병원을 찾게 되는데, 중요한 것은 유방통증 자체는 유방암과는 ...
home 건강 건강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