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작업환경 측정장비 - 환기시설 점검장비류
■ 환기시설 점검장비류 구분 보유량 모델명 제조회사(국) 열선풍속계 2 sets ISA-15S Sibata(일본) 청음봉 2 sets Excell(일본) 스모크테스터 2 sets Gastec(일본) 절연저항계 2 sets DI-8 Musashi(일본) 표면온도계 2 sets 2455 Yokogawa(일본) 회전계 2 sets 3631 Yokogawa(일본)
home 건강 검사정보
-
작업환경 측정장비 - 전자파측정기
■ 전자파측정기 보유랑 모델명 제조회사(국) 1 sets RF survey meter Holaday(미국)
home 건강 검사정보
-
작업환경 측정장비 - WBGT 측정기, 산소농도측정기, 가스검출기, 조도계, 검지관
■ WBGT 측정기, 산소농도측정기, 가스검출기, 조도계, 검지관 구분 보유량 모델명 제조회사(국) WBGT측정기 2 Quest Temp15 Quest(미국) 산소농도측정기 2 Invirocheck-1 Quest(미국) 가스검출기 1 RAE RAE(미국) 조도계 2 ANA-F9 일본 검지관 2 GASTEC Gastec(일본)
home 건강 검사정보
-
작업환경 측정장비 - 소음계
■ 소음계 구분 보유량 모델명 제조회사 비고 지시소음계 3 sets 2900 QUEST(미국) 옥타브분석기 포함 누적소음계 10 sets Q - 400 QUEST(미국) A특성과 C특성 동시측정 5 sets Q 100
home 건강 검사정보
-
작업환경 측정장비 - 공기시료채취기
■ 공기시료채취기 보유량 모델명 제조회사(국) 비고 48 sets Gil - Air Gillian(미국) 유기용제 : 15 sets 분진 : 33 sets 고유랑 : 2 sets Air - 2 MSA MSA(미국)
home 건강 검사정보
-
작업환경 측정제도
■ 작업환경 측정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에 의거 작업장에서 발생되고 있는 유해인자(소음, 분진, 유해화학물질 등)에 근로자가 얼마나 노출되는지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측정, 평가한 후 유해한 작업장의 시설, 설비를 개선함으로써 깨끗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입니다. ■ 작업환경측정결과 보고는?.... 사업주는 작업환경결과 보고서를 측정 완료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관할지방노동관서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결과를 제출하지 않거나 ...
home 건강 검사정보
-
누적외상성질환 3
■ 인간공학적 평가도구 모음 1. RURA(Rapid Upper Limb Assessment)2.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3. OWAS(Ovako Working Posture Analysing System4. JSI(Job Strain Index, Moor-Garg) 5. NLE(Revised NIOSH Lifting Equation) 6. MSD(MusculoSkeletal Disorders, WISHA) 7. HAV(H...
home 건강 건강정보
-
누적외상성질환 2
■ 위험요인과 신체부위와의 관련성 (미국 산업안전보건 연구원, 1997) 목 목-어깨 어깨 팔꿈치 손, 손목 허리 CTS 건초염 진동증후군 작업자세 ⊙ ⊙ ○ ▽ ▽ ○ ▽ ○ 반복성 ○ ○ ○ ▽ ○ ○ ▽ - 힘 ○ ○ ▽ ○ ○ ○ ▽ ⊙ 혼합 - - - ⊙ ⊙ ⊙ ▽ - 국소진동 ▽ ▽ ▽ - - - ⊙ - 전신진동 ▽ ▽ ▽ - - - ▽ ⊙ 들기작업 - - - - - - ▽ ⊙ 정적인자세 - - - - - - ▽ ▽ 혼합 : 작업자세, 반복성, 힘이 ...
home 건강 건강정보
-
누적외상성질환 1
■ 누적외상성질환의 정의누적외상성질환은 "적어도 1주일 이상 또는 과거 1년간 적어도 한 달에 한번 이상 상지의 관절 부위(목, 어깨, 팔꿈치 및 손목)에서 지속되는 증상(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또는 찌릿찌릿함)이 있고, 현재의 작업으로부터 증상이 시작되어야 한다"(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989)로 정의하고 있다. 즉, 장시간에 걸친 반복동작에 의하여 근육이나 관절, 혈관, 신경 등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고, 이것이 누적되어 ...
home 건강 건강정보
-
직업병의 조기 진단 및 예방
직업병은 치료보다는 조기에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세계의 많은 기관에서 연구를 하고 있다. 산업의학과에서도 posturography(자세 동요의 평가법)를 이용한 신경계관련 질병의 조기 진단에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생물학적 배출물질을 병행하여 분석함으로 질병의 예방 및 조기진단에 연구를 진행 중에 있으며, 반복작업이 많은 산업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home 건강 건강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