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요역동학검사
요역동학검사란? 요역동학검사는 하부요로의 기능적 단위인 방광과 요도괄약근의 동적, 기능적 활성을 조사하고, 이 두가지의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검사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각종 배뇨기능장애, 즉 배뇨곤란, 요실금, 신경인성방광 등을 진단하고, 그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요역동학검사는 모든 배뇨장애 환자에 적용되는 중요한 검사라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요역동학검사의 대상이 되는 배뇨장애의 질환을 의심하여 보아야...
home 건강 검사정보
-
방광경검사
방광경검사란? 방광경검사는 요도-방광 내시경(통칭 방광경)을 요도를 통하여 삽입하여 요도와 방광의 내부, 요관구에서의 요배출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이를 통하여 만성 방광염, 방광암, 방광게실, 방광결석, 전립선비대증, 요도의 염증, 요도협착 등의 많은 질환에 대한 진단을 할 수 있으며, 양측 신장의 소변을 분리 채취하거나 역행성 신우조영술 등의 진단검사에도 이용됩니다. 여성의 경우 방광경의 삽입시에 통증은 거의 없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으며, 남...
home 건강 검사정보
-
정관복원술
수술 성적을 보면 수술 후 정자가 나오는 개통률은 90%에 가까우나, 자연 임신율은 50-60%로 보고 되고 있다. 수술 성적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은 정관절제술로부터 정관복원술을 받기까지 소요된 시간이다. 대개 기간이 5년 이내인 경우가 6-10년 된 경우보다 임신율이 높다. 10년을 넘어선 경우 자연임신율이 많이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부인의 나이가 많을수록 임신되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부인의 나이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정관복원술의 부작용이 ...
home 건강 건강정보
-
정관절제술
정관절제술의 원리는? 남성이 사정 시 나오는 정액은 고환에서 만들어지는 정자와 침샘과 비슷한 부속성선인 전립선, 정낭, 구부요도선에서 나오는 액체들로 이루어 있으며, 전체 정액에서 정자가 차지하는 양은 많아야 5-10% 정도이다. 정관절제술은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가 지나는 길인 정관을 잘라서 묶어주어 정자가 정액 내에 포함되지 않게 하는 수술이다. 쉽게 비유하면 씨없는 수박을 만드는 것이다. 수박의 맛과 모양은 유지하면서 씨에 해당하는 정자만 포함되지 않게 하...
home 건강 건강정보
-
혈뇨
혈뇨란 무엇인가? 혈뇨란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으로, 소변을 만드는 신장(콩팥)에서부터 외부 생식기에 있는 요도 구멍까지 연결되는 소변길(요로) 중 어느 부위에서 출혈이 있음을 의미한다. 출혈이 많이 되면 눈으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소변 색깔이 붉게 되고(육안적 혈뇨), 출혈이 소량인 경우에는 눈으로 보아서는 소변색깔은 정상이며 소변검사를 통해서만 출혈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현미경적 혈뇨). 혈뇨의 원인은? 혈뇨를 일으키는 병은 100개가 넘을 정...
home 건강 건강정보
-
소아 음낭질환
갑자기 고환이 아프고 붓거나, 압통(만지면 아픈 것)이 있는 경우를 전문용어로는 급성 음낭증이라고 한다. 급성 음낭증은 대부분 소아나 사춘기에 발생하며 원인으로는 정계염전, 부고환염, 특발성 고환부종 및 고환수염전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이 중 정계염전은 빠른 시간 내에 외과적 수술을 받지 않으면 고환에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고환조직이 괴사하게 되고 따라서 죽은 고환을 제거해야 된다. 그러므로 급성음낭증인 경우에는 즉시 비뇨기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
home 건강 건강정보
-
수지상 세포를 이용한 항암치료 연구
2005년 8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약 10개월 반을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에서 연수를 하고 귀국했다. 그곳에서는 약 8개월간의 실험실 경험과 3개월간의 임상경험을 같이 했다. 실험실에서는 주로 우리 몸에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데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세포인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s)」에 대하여 연구했다. 수지상 세포는 외부에서 이상한 분자(이를 항원이라고 한다)가 들어오면 그 물질을 잡아서 림프구에게 전달(표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
home 의학 연구
-
붕정만리(鵬程萬里)의 학식과 견문
요즘 즐겨보는 드라마가 있다. 「하우스」라는 메디컬 드라마인데, 우리 의료환경에선 다소 낯선 진단전문의인 「하우스」와 그가 이끄는 팀이 다른 의사들이 포기한 환자와 그 질병에 대한 임상적 난제들을 풀어가는 내용이다. 주인공인 닥터 하우스는 불의의 사고로 장딴지 근육이 괴사하여 오른발을 절게 되었고, 그로 인한 동통이 엄습할 때마다 호주머니 속의 마약성 진통제에 의존한다. 허름한 재킷, 덥수룩한 수염, 한 손에 쥐어진 지팡이, 그리고 고집불통에 형식에 얽매이길 싫...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간암도 복강경으로 수술하세요
간암도 복강경으로 수술하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복강경을 이용한 간 절제술은 개복하지 않고 간암 등을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복도 빨라 환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복강경 간 절제술을 활발하게 시행하고 있는 아주대병원 외과 왕희정, 김봉완 교수팀은 2004년 복강경 간 절제술을 성공시킨데 이어 2005년에 9례, 2006년에 1례 등 총 11례의 복강경 간 절제술을 시행했다고 밝혔으며, 이러한 소식은 조선일보, 중앙일보(2006.3.29일자),...
home 의학 연구
-
위, 식도 점막 아래 감춰져 있는 종양도 내시경으로 제거 가능
최근 아주대병원은 위나 식도에 생긴 종양을 수술하지 않고, 간편하게 내시경으로 제거하는 시술을 독보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그 성공률이 94%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김진홍 교수는 1994년부터 위, 식도 종양 환자 200여 명을 대상으로 내시경을 통해 종양을 제거한 결과, 94%의 성공율을 보였습니다. 위 혹은 식도의 점막 아래 생기는 종양은 내시경적인 조직검사가 불가능하여 내시경 검사만으로 종양이 악성인지, 양성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가 ...
home 의학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