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리엘 흑색증 새로운 치료법 제시
를 확인했다. 그 결과 단독치료 환자군의 경우 14.6%, 피코레이저·펄스다이레이저 복합치료 환자군은 47.0%로 각각 나타나 복합치료 환자군에서 색소침착이 3배 이상 더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특히 복합치료 후 부작용이 거의 없어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 치료 전·후 모습 연구팀은 “리엘 흑색증은 알레르겐의 지속적인 노출로 인한 염증 반응과 함께 발생하는 진피성 색소침착으로 원인물질을 찾아내기 힘들고, 진피성 색소침착은 레이저 치료도 쉽지 않았다”고 설명 ...
home 의학 연구
-
암 진행·전이 촉진 iCAF, 종양 조직 내 저산소증 의해 형성
국내 의료진이 암연관섬유아세포(cancer-associated fibroblast; CAF) 중 다양한 cytokine을 분비해 암의 진행과 전이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inflammatory CAF(iCAF)가 기존 개념과 달리, 실제로는 종양 조직 내 저산소증(hypoxia)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처음으로 밝혔다.이번 연구는 국제 SCI 저널인 Clinical and Translational Medicine(IF: 10.6) 최근 온라인판에 소개됐다. C...
home 의학 연구
-
디지털 문해력 높을수록 고령층 뇌 인지기능에 긍정적
어르신들이 전자기기와 친한 경우 우울증 증상이 낮고 인지기능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노현웅 교수, 홍선화·남유진 연구교수, 가천대 의대 홍재우 학생)은 7,988명의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해 노인의 디지털 문해력이 우울 및 인지기능과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지난 2022년 발표한 ‘디지털정보 격차 실태조사’에서 일반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100%로 볼 때, 노인은 70%라고 보고한 바 있다.디지털 문...
home 의학 연구
-
위암 보조항암화학요법 시 혈전 유의
표준 치료다.연구 결과 전체 대상자 중 20명(3.3%)에서 혈전색전증이 발생했으며, 그 중 19명이 S-1 치료 환자군이었고, 가장 많이 발생한 혈전색전증 유형은 뇌경색(5명)과 폐혈전색전증(5명)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혈전색전증의 발생 위험요인은 여러 임상적 소견 중 △고령(70세 이상) △S-1 요법 △고혈압이었고, 다변량 분석 결과 이중 ‘고령’만이 독립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자세히 살펴보면 70세 이상 환자의 경우, 70세 미만의 환자에 ...
home 의학 연구
-
만성 두드러기 악화 원인 ‘HSP10’ 자가항체 첫 규명
군과 달리 HSP10에 대한 자가항체 양성률이 40.7%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HSP10 자가항체 양성 환자들은 두드러기의 중증도가 높았다.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혈액에서 HSP10 단백 자체는 상대적으로 낮았고, 이렇게 낮았던 환자들은 6개월 치료 후에도 두드러기가 잘 조절되지 않았다. 즉 HSP10 단백이 두드러기의 악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더 나아가 HSP10을 낮추는 원인이 ‘증가된 miR-101-5p(마이크로 RNA)’이며, ...
home 의학 연구
-
[진알못] 켈로이드
[진료실에선 알지 못한 이야기] 흉터가 점점 커지고, 튀어나오는 것 같아요. 저...‘켈로이드’일까요? (feat. 피부과 VS 성형외과 고민된다면?) | 피부과 박영준 교수
home 건강 건강TV
-
[진알못] 치주질환
[진료실에선 알지 못한 이야기] “치실은 효과가 별로 없습니다.” 치주질환 예방하려면 ‘이것’을 쓰세요! [잇몸에서 피나는 사람 필수 시청] 치주과 지숙
home 건강 건강TV
-
[딱5분만] 크론병 증상 4가지
[딱 5분만] 단순히 치루인 줄 알았는데 크론병이라고? 놓쳐서는 안 될 ‘크론병’ 증상 4가지! 소화기내과 신성재 교수
home 건강 건강TV
-
간세포암 색전술 시행 범위 넓혀야
간세포암(간암)에서 간동맥화학색전술(이하 TACE)의 시행 범위를 보다 넓힐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간세포암은 다른 부위에서 간으로 전이된 암이 아닌 간세포 자체에서 발생한 암으로 주로 간절제, 간이식 그리고 간동맥화학색전술 등으로 치료한다.영상의학과 김지훈 교수는 2007년부터 2021년까지 수술이 힘든 상태로 전신화학요법 치료를 시행해야 하는 BCLC C 진행 병기의 간세포암 환자 중 혈관 침범이나 간 이외 다른 부위로 전이가 없는 환자 236명을 ...
home 의학 연구
-
폐경 이전 젊은 유방암, 난소 억제제 병행치료 효과
세포 재발 없이 생존한 비율)의 경우 병행군이 85.4%, 타목시펜 단독 투여군이 80.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또 전체 생존율은 병용군 96.5%, 타목시펜 단독 투여군 95.3%로 병용군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이외에 무재발 생존기간, 원격 전이 없는 생존 기간 등에서 병용군이 유의하게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폐경 이전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항암치료 이후 난소 기능이 유지되거나 회복된 환자를 대상으로 ...
home 의학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