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선천성 심장병
소중한 아기가 안고 태어난 심장의 구조적 이상, 선천성 심장병 선천성 심장병은 태아 시기에 심장이 정상 모양을 갖추지 못하고 심장 기형 또는 기능 이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신생아 100명당 1명 정도에서 발견된다. 글. 소아청소년과 정수인 교수 신생아100명 당 1명에서 발생하는 선천성 심장병, 원인은? 선천성 심장병은 태아 시기에 심장이 정상 모양을 갖추지 못하고 심장 기형 또는 기능 이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신생아 100명당 1명 정도에서 발견된다. 태아...
home 건강 건강정보
-
구강암
구강암은 두경부암의 한 종류로 입안에 생기는 암을 의미한다.혀, 볼 점막, 입술, 잇몸, 입천장 등에 생길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혀에 발생하는 설암이 가장 흔하다.구강암의 원인과 주요 증상, 치료방법 등을 만화로 살펴보자.
home 건강 건강만화
-
[딱5분만] 족저근막염 증상 2가지
기상 후 첫 발을 내디딜 때 통증을 느낀 적 있다면? 정형외과 내원 질환 TOP3 족저근막염에 대해서 알아본다.
home 건강 건강TV
-
[진알못] 어깨 스포츠 손상
[진료실에선 알지 못한 이야기] EBS명의가 알려주는 ‘어깨 통증 줄이면서’ 안전하게 운동하는 법! | 배드민턴, 헬스, 수영하다 어깨 아플 때 | 정형외과 이두형 교수
home 건강 건강TV
-
의료빅데이터 기반 항생제 내성 AI 개발
감염질환에서 의료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항생제 내성 예측 AI(인공지능)’가 개발됐다. 의료정보학교실 박래웅 교수팀(의료정보학교실 김청수 대학원생, 감염내과 최영화 교수, 이화여대 약학대학 이정연 교수)은 상급종합병원 275만 명의 공통데이터모델(CDM)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AI 기반의 ‘경험적 항생제’ 내성 예측 모형을 만들었다. 중증 감염병 환자가 입원할 경우, 정확한 항생제 처방을 위해 처방 전 항생제 내성 여부를 확인해야 하나, 처방을 미룰 수 없는...
home 의학 연구
-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 천식 악화 위험 낮춰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천식 악화의 위험은 29%, 중증 천식 악화의 위험은 43% 낮은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천식 악화는 천식 증상 악화로 인해 예정되지 않은 병원 방문을 한 경우를, 중증 천식 악화는 전신 스테로이드 투여가 필요한 경우로 정의했다.또 두 환자군에서 천식의 주요한 원인인 호산구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은 반면, 대표적인 염증 지표인 C 반응 단백질과 면역글로블린 E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LDL)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
home 의학 연구
-
인체노화 일으키는 중간노화세포 발견
아주대 의대 역노화 연구팀이 기존에 밝혀져 있지 않은 ‘중간노화세포’의 존재를 인체 노화과정에서 처음 확인하고, 이를 통한 노화 억제 전략을 세계 최초로 제시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11월 국제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IF 16.6) 온라인판에 ‘Mid-old Cells are A Potential Target for Anti-aging Interventions in the Elderly(중간노화세포 제어를 통한 노화 억제 전략)’...
home 의학 연구
-
당뇨관리 ‘양호기관’ 의원 이용, 합병증 위험 낮춰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는 증식당뇨망막증 위험이 18% 감소한 것을 비롯해, 말기 신부전 위험 23%, 하지절단 위험 25%, 심근경색증 위험 15%, 뇌졸중 위험 14%, 전체 사망 위험 4% 등 주요 당뇨병 합병증 위험이 대부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당뇨병 환자 관리의 질 향상 및 합병증 발생 위험 감소를 위해 2011년부터 전체 동네 의원을 대상으로 당뇨병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평가 지표는 △정기적 외래진료 △ ...
home 의학 연구
-
국가적 외상시스템, 예방가능 사망률 낮춰
미국, 일본 등 선진 국가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은 5% 미만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은 2015년 30.5%였으나 2017년 19.9%에 이어 2019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15.7%까지 낮아졌다. 연구팀은 2015년에 비해 2019년 1,247명의 외상환자를 더 많이 살렸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확장형국제질병분류손상점수 체계를 기반으로 한 중증도 보정외상사망 예측모델을 구축해 외상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국내 전체 외 ...
home 의학 연구
-
주걱턱 양악 수술 후 재발 예측 모델 개발
터를 적용한 결과 턱이 다시 앞으로 나올 가능성을 90% 예측하는 것을 확인했다. 측모 두부계측방사선 사진(Lateral cephalogram)의 랜드마크와 길이, 각도 변수들 기계 학습이란 인공지능(AI)을 가능케 하는 방법 중 하나로, 컴퓨터가 스스로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학습해 결정을 내리거나 미래를 예측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기계 학습을 이용해 주걱턱 양악 수술 후 재발 가능성을 예측하는 모델이 발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특히 수 ...
home 의학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