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희망의 동반자가 되어
내가 간호사가 되겠다는 꿈을 갖고 간호학에 입문한지도 8년이 지났다. 학생시절에 여러 분야의 실습을 통해 간호에 대한 경험을 해 볼 수 있는 시간이 있었지만, 산부인과라는 낯선 공간에서의 근무는 마치 전쟁터에 나온 군인과 같이 치열했다. 병원이라는 곳은 사람에게 병이 생겨서 몸이 아프고 마음으로도 아주 여리고 예민한 상태이기 때문에 환자에게 다가가기가 너무나 힘들고 겁이 났었다. 내가 학업을 통해 배운 것을 실전에서 접하게 되었고, 환자들이 조금 더 편안하게 휴...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컴퓨터를 이용한 폐질환 진단 연구
지난 한 해 동안 스탠포드 의과대학으로 연수를 다녀왔다. 나의 주된 관심 연구 분야는 Lung CAD(Computer Aided Diagnosis) 분야로 폐에 발생하는 질환들을 점점 발전해나가는 컴퓨터를 이용해 진단을 시도하는 연구 분야다. 스탠포드 의과대학에 3D Medical image laboratory의 책임자(Director)인 Dr. Rubin이 컴퓨터를 이용해 흉부 CT영상 내 폐결절을 찾아내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이곳의 연구...
home 의학 연구
-
나는 의사다!
「나는 가수다」라는 프로가 요즘 화제다. 서바이벌에 참가한 가수들은 가수라는 자부심을 갖고 자신들의 실력을 뽐낸다. 나는 의사가 된지 이제 세 달이 지났다. 「나는 의사다」라는 숭고한 사명감과 자부심을 느꼈던 때는, 솔직하게 이야기 하자면 의사면허를 받은 날과 인턴을 처음 시작하던 날뿐이었던 것 같다. 처음 재활의학과에서 일을 할 때는 적응하느라 다른 생각을 할 여유가 없었고 내과와 신경외과에서는 많은 업무량 때문에 다른 생각을 할 여유가 없었다라고 글을 쓰려고...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사진으로 보는 질병과 치료] 진단과 치료에 유용한 핵의학 검사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검사와 치료는 핵의학과에서 시행하는데 한 번의 검사로 유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널리 쓰이고 있다. 가장 흔한 검사로는 뼈 스캔, PET/CT, 갑상선환자의 수술 후 요오드 치료 등이 있다. 외상 환자에서의 뼈 스캔뼈 스캔은 뼈에 특이적으로 섭취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사하고 3~4시간 후에 영상을 얻는 것으로 한 번의 촬영으로 전신의 뼈 상태를 알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다. 정상 뼈에서는 약한 정도의 섭취를 보이나 뼈에 손상이 있거나...
home 건강 건강정보
-
[사진으로 보는 질병과 치료] 통증과 흉터 적은 인터벤션 시술
살다가 갑상선이나 자궁에 혹이 생기거나 다리 혈관이 막혀서 통증이 생기면 어떻게 할까? 우선은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을 것이고 입원해서 수술을 해야 되겠다고 생각할 것이다. 환자는 수술을 앞두고 통증과 흉터, 부작용 등 많은 걱정을 하게 된다. 하지만 요즈음엔 영상의학과에서 시행하는 인터벤션 치료가 매우 발달되어 있어 수술에 버금가거나 오히려 더 나은 치료성적을 보이고 있다. 더군다나 통증도 적고 흉터도 남지 않을뿐더러 부작용도 거의 없는 방법이 아주 많이 개발...
home 건강 건강정보
-
[사진으로 보는 질병과 치료] 간암과 간 고주파열치료
간세포암은 흔히 간암이라 부르며, 간에 생기는 원발성 악성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위암, 폐암, 대장암에 이어 4번째 발병률을 보이는 악성종양이다. 간세포암의 원인은 가장 흔한 것으로 간경변증, 만성간염, 그리고 드물게 발암물질 세 가지가 있지만, 그 대부분이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 출발점이라고 생각된다. 간염바이러스에는 A, B, C, D, E, F 등의 종류가 있으나, 이중 간암과 관계되는 것은 B, C의 두 종류이다. 간염 바...
home 건강 건강정보
-
[사진으로 보는 질병과 치료] 견관절질환
야외활동이 늘고 나들이가 많아지는 계절이다. 스포츠 야외활동이 늘어날 때 견관절의 통증을 호소하거나, 다치기 쉬운 관절중 하나가 견관절(어깨관절)이다. 회전근개파열은 오십견과 함께 견관절의 통증과 운동제한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중 하나다. 회전근개는 크게 네 가지가 있으며 그중 극상근건의 파열이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병율에 대한 보고는 다양하지만, 과거 극상근건에 대한 연구에서 부분 파열이 최대 32%, 완전 파열이 최대 19%에 이른다는 보고가 ...
home 건강 건강정보
-
[사진으로 보는 질병과 치료] 뇌동맥류
뇌동맥류란 혈관벽의 일부가 늘어나 꽈리 모양으로 부풀어 튀어나온 것으로 뇌동맥류의 벽은 얇고 약해서 출혈을 잘 일으킨다. 뇌동맥류는 전체 인구의 약 1~2%의 유병률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중 절반이 출혈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아무런 증상 없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 건강 검진이나 다른 질환으로 MRI나 CT검사로 우연히 발견되는 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뇌동맥류는 파열이 되면 절반 정도 사망하는 무서운 질환이므로 뇌동맥류에 대한...
home 건강 건강정보
-
[사진으로 보는 질병과 치료] 폐동맥 색전증
며 이 중 약 15만 명이 사망한다. 환자의 10~30% 정도가 사망 전에 폐동맥 색전증을 진단받고, 진단을 받은 경우의 사망률은 10% 정도로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사망률은 줄어든다. 물론 중환자에게서 발생하는 폐동맥 색전증의 사망률보다는 기저 질환이 없던 환자에서 발생하는 폐동맥 색전증의 사망률이 훨씬 낮다. 폐동맥 색전증 사망 환자의 90%가 색전 발생 1~2시간 내에 발생하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폐동맥 색전증의 증상은 색전에 의해 폐쇄되 ...
home 건강 건강정보
-
[사진으로 보는 질병과 치료] 관상동맥질환과 심장 CT
착의 정도와 길이를 손쉽게 파악하여 유의한 협착을 90% 이상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관상동맥질환의 치료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생활방식의 변화를 통해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하고 악화를 방지하며, 둘째는 진단 이후 약물 치료를 통해 심장기능을 개선시키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며, 마지막으로는 관상동맥중재술 및 관상동맥우회술 등으로 심장근육의 혈액 공급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심장 CT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중재술 및 관상동맥우회술의 성공 ...
home 건강 건강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