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뇌파 검사(Electroencephalography, EEG)
뇌파 검사(Electroencephalography, EEG) 뇌파 검사란? 두피에 20~30개의 전극을 부착하여 뇌의 미세한 전기활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적응증 경련성 질환, 두통, 뇌혈관 질환, 뇌종양, 의식장애, 뇌막염, 뇌사판정 등 여러 질환의 진단 및 치료, 예후 관찰과 추적 검사 소요시간 : 50~70분 준비사항(주의사항) ① 식사에 제한은 없습니다. ② 수면에 방해가 되는 커피, 녹차, 콜라 등의 카페인 음료는 드시지 마십시오. ③ 수면 뇌파 검...
home 건강 검사정보
-
후각 검사(Cross-Cultural Smell Identification Test)
후각 검사(Cross-Cultural Smell Identification Test) 후각 검사란? 12개의 미세 캡슐에 냄새를 넣은 특수 검사지를 사용하여 후각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소요시간 : 10~20분 준비사항(주의사항) ① 식사와 음료에 제한은 없습니다. ② 냄새를 잘 못 맡으시거나 코 관련 질환이 있으신 경우 미리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검사방법 후각검사에 대한 문의나 예약시간 변경 시 (031) 219-7041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home 건강 검사정보
-
보행분석검사(Gait analysis)
보행분석검사(Gait analysis) 보행분석검사란? 보행분석장비(GAITRite)를 활용하여 환자의 보폭과 속도, 보행 시 발에 부하되는 압력 등 시공간적 변수를 측정하고 기록하여 과학적으로 보행장애를 분석,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적응증 파킨슨, 소뇌실조증, 수두증 등 보행장애 소요시간 : 15~20분 준비사항(주의사항) ① 식사와 음료에 제한은 없습니다. ② 무릎까지 올라갈 수 있는 옷을 착용하거나 탈의(하의)가 편한 옷을 입고 오시기 바랍니다. 검사방법 ...
home 건강 검사정보
-
떨림분석검사(Tremor analysis)
떨림분석검사(Tremor analysis) 떨림분석검사란? 떨림을 발생시키는 근육의 움직임과 손의 움직임을 동시에 측정하고, 무게에 따른 떨림 속도 변화 등을 측정하여 떨림의 원인을 정확하게 감별하는 검사입니다. 적응증 파킨슨 진전, 본태성 진전, 심인성 진전, 기립성 진전, 소뇌성 진전, 근육긴장이상 등 소요시간 : 30~50분 준비사항(주의사항) ① 식사와 음료에 제한은 없습니다. ② 팔꿈치까지 올라갈 수 있는 옷을 착용하거나 탈의(상의)가 편한 옷을 입고 ...
home 건강 검사정보
-
국내 ‘외상성 척수 손상’ 최근 13년간 동향 발표
과 비수술 그룹으로 나눠 보면, 각각 7,719명(25%), 23,260명(75%)으로 전체 환자의 1/4이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부위는 경부(64%), 요추·천골(18%) 및 흉부(17%) 손상 순으로, 목부위 손상 수술이 가장 많았다. 또 수술방법은 전방 유합(38%), 후방 감압(33%), 후방 유합(21%) 순이다. 이외 연령대는 40~59세(41%), 60~79세(35%), 20~39(15%) 순이며, 남성(68%), 여성(32%) ...
home 의학 연구
-
뇌혈관이 좁아지는 모야모야병 악화되는 이유 찾아
변이를 가진 환자의 비율은 한국과 일본의 경우 약 80%다. 모야모야병은 뇌 안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서서히 좁아지다가 결국 막히는 희귀난치성 질환이다. 뇌에 공급되는 혈액이 부족해지면 이를 보충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미세 혈관이 자라는데, 이 혈관이 마치 연기가 피어나는 모양과 비슷하다고 해서 일본어로 ‘모락모락’이란 뜻인 ‘모야모야’병으로 부른다.모야모야병은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에서 유병률과 가족력이 높다. 이에 유전적인 요인이 주요 발병 원인으로 ...
home 의학 연구
-
까다로운 중증 천식 새로운 생체 표지자 ‘Otulin’ 발견
생성으로 인해 호흡곤란이 생긴다. 천식 환자의 5~10%는 고용량의 흡입 스테로이드를 사용해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 중증 천식이다. 이러한 중증 천식은 호산구성 천식과 호중구성 천식으로 구분한다.이중 호중구성 천식은 사용 가능한 치료 제제가 한정적이며, 스테로이드 포함 일반적인 천식 치료제에 잘 반응하지 않고, 중증 천식 및 입원 위험이 높다.그동안 많은 연구를 통해 주요 원인인 기도에 생긴 호중구 세포 침윤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이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된다는 보고 ...
home 의학 연구
-
건선 중증도 확인 ‘바이오마커’ 발견, ‘각질세포’ 중요성 재확인
과다한 각질이 골칫거리인 건선에서 혈액검사로 객관적인 중증도 확인이 가능해졌다. 아주대병원 피부과 이은소·박영준 교수팀은 건선의 중증도를 판단하는 혈액 내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건선은 인구 1% 이상에서 발병하는 대표적인 난치성 만성 피부 염증 질환이다.비교적 젊은 인구에서 호발하는데, 경계가 분명한 전신 홍반과 함께 과다한 각질이 발생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줄 뿐 아니라, 치료하지 않으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고, 관절 또한 침범해 관...
home 의학 연구
-
[나의연구 나의테마] 파킨슨병 및 근긴장이상질환 환자에 대한 통찰력의 계기를 마련한 시간
나는 신경과 전문의로서 파킨슨병 및 여러 이상운동질환(근긴장이상증, 떨림, 소뇌실조증)을 담당하고 있다. 그동안 기존의 약물치료에 중점을 둔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2016년부터는 아주대학교병원 파킨슨센터를 통한 뇌심부 자극술, 근긴장이상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보톡스클리닉을 꾸준히 운영해왔지만 임상 및 학문적 한계에 봉착한다는 느낌이 있었다. 특히나 뇌신경조절 프로그래밍, 초음파 치료, 근긴장이상증 보톡스는 이상운동질환 분야에서는 다소 생소한 학문 영역으로, 한국에...
home 의학 연구
-
두경부암센터, 냉철한 두뇌와 뜨거운 심장 그 사이, 희망은 있다
경부암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 초기에 발견하면 80% 정도는 완치가 가능한 두경부암의 생존율이 수십 년째 제자리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빈번한 오진’ 탓이다. 오랜 임상 경험을 갖춘 전문의가 아니라면 이를 제대로 진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두경부암센터는 일반 전문의, 개원의들에게 두경부암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한 교육 시스템 마련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1만 2,000여 개의 두경부암 데이터를 취합해 만든 AI 딥러닝 앱은 정확도 96%를 자랑한다. ...
home 의학 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