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올바른 식습관은 이유식에서부터 시작된다
이유(Complementary feeding)란 모유 대신 다른 음식이나 액체를 주는 것을 말한다. 신생아 시기의 어려운 육아과정에 좀 익숙해졌다 싶으면 이제 이유식을 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게 된다. 아이를 키워가는 것은 계속되는 결정과 인내의 과정이라고 하지만 어린 아가에게 처음 음식을 주고 익숙하지 않은 아이를 훈련시키는 과정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육아 담당자가 알아야 할 이유식의 원칙과 올바른 식습관에 대하여 소개 한다. 이유식은 음식을 받아 삼키...
home 건강 건강정보
-
건선, 꾸준한 치료와 관리가 호전의 지름길
건선은 국민의 1% 정도가 환자일 만큼 흔히 발생하는 피부질환이다.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 면역, 스트레스, 그리고 피부감염 등이 모두 건선을 일으키는 데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건선의 중상을 알아보고 조기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건선의 주요 발병 부위는 어디인가? 주로 대칭적으로 무릎, 팔꿈치, 엉덩이, 두피 등 주변 물체에 닿아서 상처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부위에 많이 나타난다. 이 외에도 손, 발톱,...
home 건강 건강정보
-
세계한인의사회 초대 사무총장, 배기수 교수
소아청소년과 배기수 교수(경기도의료원장)가 지난 달 세계한인의사회(World Korean Medical Organization, WKMO) 초대 사무총장에 추대됐다. 경기도의료원장 등 최고 경영자로 바쁜 일정을 보내면서도 전 세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인의사들의 네트워크 구축과 활동에 열정을 쏟고 있는 배기수 사무총장에게 이런저런 이야기를 들어봤다. ■ 세계한인의사회는 어떤 일을 하는 단체인가요. 전 세계에 살고 있는 한인의사를 한데 엮어, 의미 있는 일을 해보자...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테이저건 반복 노출되면 심혈관에 부작용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대터러용 장비 테이저건(TASER X26)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심혈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테이저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사용 가이드라인에 대한 근거가 될 전망이다. 아주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민영기 교수팀(박은정·최상천 교수)에 따르면, 테이저건의 반복적노출이 돼지의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에서 테이저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혈압이나 전신혈관저항 등에서 혈역학적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home 의학 연구
-
내가 좋아하는 남자 - 삼국지 교양강의
몇달 전의 일입니다. 전에 교수였던 모씨가 대통령 선거에 나온다니 명절날 부엌일을 같이 하는 형님과 나는 여느 남자를 올리듯이 그를 우리만의 도마에 올렸습니다. 근데 평소와 다르게 형님의 칼날은 전혀 날카롭지 않았지요. 깨끗하고 이미지 좋아 보이는 남편 아닌 다른 남자가 더러운 정치판에서 저격수의 총에 맞고, 기자들의 흠잡기와 주머니 털기와 뒷조사에 탈이 나고 형편없이 무너져 버리거나 상처받을 것이 마음 아프셨던지, 그가 나오지 않고 그냥 그대로 좋은 이미지로 ...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상사병과 콜레라 - 콜레라 시대의 사랑
학생은 수업시간에 잘 수 있습니다. 제 수업시간도 물론 마찬가지입니다. 자는 학생에 대한 반응은 그때그때 다릅니다. 자는 학생에 대한 책임의 반은 제게 있기 때문에(오죽 들을만하지 않으면 자겠습니까?) 때로는 가서 깨우기도 하고 옆 학생에게 깨우라고 신호를 보내기도 하지만 나가야할 진도가 너무 많을 때는 누군가 자는 것에 구애받지 않고 앞만 보고 달립니다. 눈뜬 자여, 따라오라. 자는 자여, 난 모르겠네입니다. 그렇지만 때로 시간 여유가 있으면 학생들을 깨웁니다...
home 사람 아주인 이야기
-
사경에 관한 동영상 ( SBS[건강리포트] 아이의 삐딱한 머리, 사경 의심해야)
사경에 관한 동영상입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335564 출처 : 2012-08-20 SBS 건강리포트
home 건강 건강정보
-
피부조직검사
피부조직검사 피부 발진이나 자반증이 있을 경우 원인 감별을 위하여 시행하게 됩니다. 주로 병변 부위에서 시행되며 소독 후 punch라는 기구를 이용하여 지름 1~2mm 가량으로 원형의 피부조직을 떼어냅니다. 드물지만 출혈이 되는 경우 봉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흉터는 남지 않습니다.
home 건강 검사정보
-
신장조직검사
□ 신장조직검사 소변검사에서 단백뇨, 혈뇨, 원추체 등이 관찰되거나 그 외 신장염이 의심되는 경우 시행하게 됩니다. 최소한으로 1박 2일의 입원이 필요하며 검사는 입원 다음날 오전 1층 영상의학과 초음파실에서 시행합니다. 대개의 경우 별다른 합병증 없이 시행되며 드물게 출혈이나 혈종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검사 방법 환자는 엎드린 자세로 눕습니다. 초음파로 신장 및 검사할 위치를 확인하고 가는 바늘을 이용하여 신장 조직을 떼어냅니다. 매우 빠른 시간 동안 진...
home 건강 검사정보
-
염증지표검사
□ 염증지표검사 전신의 염증 상태를 평가하는 혈액 검사로서 주로 전신 감염이나 염증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상승하며 호전되면 떨어집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강직성 척추염 등과 같이 만성 염증성 질환에서 질병의 활성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됩니다. 흔히 사용하는 검사로는 적혈구 침강계수(ESR)와 C-반응 단백(CRP)이 있습니다. 치료 중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질병의 상태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
home 건강 검사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