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토리 총 2879 건
-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내시경의 진화] 부인암 수술, 흉터는 점점 더 작게
기왕이면 수술 상처가 작기를 바라는 마음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같겠지만, 젊은 또는 중년의 여성들이 찾는 부인과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과학 기술과 함께 의료 기구, 수술 기술 또한 발전하면서 작은 수술 상처로 세밀한 수술을 하는 최소 침습 수술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 만해도 자궁근종이나 난소의 양성 혹 수술에서도 개복을 하였으나 점차 배에 몇 군데 구멍을 내는 복강경수술로, 최근에는 배꼽에 1.5cm의 하나의 작은 상처만을 통하여 수술을 하는...
home 건강 건강정보
-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내시경의 진화] 내시경을 이용한 심장수술
전통적인 심장 수술은 가슴 한가운데의 흉골을 절개하고 시행한다. 이러한 수술법은 수술 후 흉골이 완전히 붙을 때까지 약 6~8주간 활동에 제약을 받으며, 특히 여자 환자들의 경우에는 수술 후 흉터가 문제가 된다. 최근에 로봇을 이용한 내시경 수술이 여러 과의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면서 흉터를 줄이고, 환자들의 수술 후 빠른 회복을 돕고 있다. 심장수술 분야에서도 로봇을 이용한 내시경 수술이 도입되었으나, 역동적이며 피가 가득 차있는 기관이라는 특성상 로봇을 이용한...
home 건강 건강정보
-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내시경의 진화] 자신있는 목라인, 갑상선암 수술
국가 암 등록사업 연례보고에 따르면, 갑상선암은 1999년에 비해 2007년도에 5배 이상의 환자가 증가했으며, 다른 암과 다르게 젊은 연령 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우리 나라는 30~40대 젊은 연령대의 발생률이 다른 나라에 비해 5배 이상 많고 비교적 예후가 좋은 갑상선 유두암, 그 중에서도 1cm 이하의 미세유두상 갑상선암의 빈도가 높아 갑상선암 치료에 있어 미용적인 측면이 대두되었다. 이렇듯 젊은 여성에서 많이 생기고, 예후가 좋은 미세...
home 건강 건강정보
-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내시경의 진화] 척추질환의 최소침습수술
과학 기술과 수술 술기의 발달로 척추 수술 분야에서도 수술에 따르는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기존의 수술 방법과 동등한 결과를 달성하는 최소 침습 수술 방법이 발전되어 왔다. 대표적인 술기로는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과 작은 수술 창을 통한 최소 침습 수술이 있다. 척추 내시경 수술내시경 수술이란 광학 기구인 내시경을 환자에게 삽입하여 장기를 직접 관찰하고 치료하는 술기이다. 척추 수술에서 내시경이 도입된 것은 약 30여 년 전으로, 초기에는 무릎에 사용하는 관절경을 이...
home 건강 건강정보
-
당뇨발 알고 예방하자!
당뇨병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과거 7~80년대 당뇨병이 거의 없던 시절도 있었지만 최근 우리나라 성인의 약 10~12%(약 400만 명)가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특히 나이에 따라 증가하여 65세 이상 노인인구에서는 거의 10명 중 3명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 당뇨병은 혈당이 올라가서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킨다.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은 채 오래 지속되면 특히 눈, 신장, 신경에 합병증이 생긴다. 눈이 나빠져서 잘 보이지 않게 되고 신장이 나...
home 건강 건강정보
-
[당뇨발클리닉] 당뇨발 알고 예방하자!
당뇨병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과거 7~80년대 당뇨병이 거의 없던 시절도 있었지만 최근 우리나라 성인의 약 10~12%(약 400만 명)가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특히 나이에 따라 증가하여 65세 이상 노인인구에서는 거의 10명 중 3명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 당뇨병은 혈당이 올라가서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킨다.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은 채 오래 지속되면 특히 눈, 신장, 신경에 합병증이 생긴다. 눈이 나빠져서 잘 보이지 않게 되고 신장이 나...
home 건강 건강정보
-
[당뇨발클리닉] 당뇨병성 말초동맥질환의 치료법
최근 미국에서 진행된 POPADAD(the Prevention of Progression of Arterial Disease and Diabetes) 연구에 의하면 말초 동맥질환의 증상이 없는 40대 이상 당뇨병 환자의 20.1%가 말초 동맥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말초동맥질환의 증상을 잘 이해하고 당뇨 환자들에서 혈관 질환을 조기 진단하는 것은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말초동맥질환에서의 환자의 증상은 처음에는 장거리 보행 ...
home 건강 건강정보
-
[당뇨발클리닉] 하지절단을 피하는 치료법이 있다?
당뇨족이 있는 환자의 50% 이상에서 발로 가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말초동맥폐쇄를 동반하고 있다. 이런 환자들의 증상은 발의 상처와 더불어 어느 정도 걸으면 다리가 아프거나 저리는 증상이 일어나기도 하고 심하면 쉬는 중에도 다리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발에 있는 상처로 가는 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작은 상처임에도 불구하고 잘 치유되지 않고 괴사로 진행되어 약 25%에서는 하지 절단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당뇨병성 말초동맥폐쇄질환의 치료목적은 ...
home 건강 건강정보
-
[당뇨발클리닉] 당뇨발 감염증과 궤양의 치료
전족부의 중족골 두부에서 최대 족저 압력을 75~84% 감소시키므로 전족부 궤양에서 가장 좋은 적응증이며 후족부의 압력감소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전족부의 족저부위에 발생하는 창상은 보행시 발생하는 수직 압력과 전단력을 계속 받기 때문에 다른 부위 보다 창상 치료가 오래 걸린다. 비 이상적 과다 하중을 분산시켜 주변의 압력이 같은 높이를 유지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거즈 자체가 압력의 차이를 받게 해 주는 원인이 있기 때문에 두 장 이상 쓰면 ...
home 건강 건강정보
-
[당뇨발클리닉] 당뇨병 환자에게 필요한 운동은?
야 할 점은?당뇨병 환자에게 발생하는 하지 절단의 85%는 발가락, 발바닥, 발등에 발생하는 피부궤양이 원인이다. 혈당조절을 위해 걷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이 좋지만 운동을 하면서 궤양이 발생 할 수 있다. 걷기 운동을 할 때는 연속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 보다 20분 걷기 뒤 10분 휴식을 반복하는 것이 좋다. 10분 휴식을 취하는 동안 발의 앞부분을 들어 발의 압력이 줄어들게 하고 발에 충분한 혈액순환이 되게 한다. 당뇨병에 의한 족부궤양을 예방하기 위해 신발의 ...
home 건강 건강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