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가기 주메뉴로 가기 카피라이트로 가기

병원뉴스

정경욱·이수영 교수팀, 유럽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회 최우수구연상 수상 등록 정보

인사·동정 정경욱·이수영 교수팀, 유럽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회 최우수구연상 수상

조회수
1344
등록일
2023-07-05
첨부파일
정경욱·이수영 교수팀, 유럽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회 최우수구연상 수상 게시글 내용

(왼쪽부터)소아청소년과·정경욱 이수영 교수


소아청소년과 정경욱 교수(연구 책임자: 이수영 교수)가 지난 6월 9일부터 6월 11일까지 독일 함부르크에서 개최된 2023 유럽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회(2023 Congress of European Academy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에서 최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

수상한 연구 제목은 ‘국내 소아청소년 들깨알레르기의 임상 특성 및 실험실 결과(Clinical and laboratory investigation of perilla seed allergy in Korean children)’다.


연구팀은 아주대학교병원 등 2개 상급종합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한 환자 중 21명의 임상적 특성과 피부반응검사 결과 등을 국제 학술지 ‘알레르기 및 임상 면역학 저널(Journal of Investigational Allergology and Clinical Immunology)’에 발표한 바 있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연구를 더 확대하여 아주대학교병원 단일기관에서 총 38명의 들깨알레르기 환자와 대조군 14명의 임상 및 면역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소아청소년 들깨알레르기 환자 38명 중 23.7%가 중증 알레르기반응인 아나필락시스를 경험했고, 과반수의 환자가 들깨가 포함된 국물 요리를 섭취한 후에 증상을 경험했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 발현 시간은 10분 이내였다. 38명 중 31명에서 자체 제조한 시약으로 들깨 피부반응검사를 시행했고 검사받은 환자 모두가 팽진 3mm 이상의 양성 반응을 보였다.


들깨가 국내 소아청소년의 중증 알레르기 반응의 주요 원인 식품 중 하나임에도 이에 대한 연구 보고가 희박한 가운데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여 더 많은 소아청소년 들깨알레르기 환자의 임상 특성을 발표했다는 점과, 진단을 위한 상용화된 검사법이 없는 들깨알레르기에서 자체 제조한 피부반응검사 시약의 진단적 가치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